미스터 피넛 2
애덤 로스 지음, 변용란 옮김 / 현대문학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만만치 않은 분량임에도 단숨에 읽었다. 그냥 가벼운 추리소설이라고 생각했는데, 다 읽고 난 지금은 단순히 추리소설이라고만은 할 수 없는, 잘 만들어지고 잘 짜여진 심리소설을 대한 느낌이랄까.

소설에서는 세 남자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성공한 게임설계자로서의 삶을 살고 있는 데이비드 페핀. 결혼 13년차인 그는 아내와 거의 대화가 없다. 그는 두 사람의 문제가 우울증이 있는 아내의 강박적인 다이어트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여전히 아내를 사랑하지만 가끔은 아내가 죽기를 바란다. 그런데 어느 날, 그녀가 땅콩을 삼키고 죽고 만다. 그리고 이내 유력한 용의자가 된다.
페핀이 살해했다고 굳게 믿는 형사인 해스트롤이 있다. 그 역시 결혼생활에 문제가 있다. 아내 한나가 어느 날 이유 없이 침대에 드러눕더니, 그 이후로 꼼짝도 않고 지내는 것. 이유를 물어도 ‘아직도 모르겠냐’는 대답만 할 뿐이다. 해스트롤은 답답하기만 하다.
또 한 사람의 형사 셰퍼드. 이 남자의 과거는 그야말로 ‘미스터리’다. 의사였던 이 남자는 아내를 잔인하게 살해한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은 전적이 있다. 지금은 다시 무죄판결을 받고 형사로서 새 삶을 살고 있지만, 과거 그 사건의 진상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영화 <도망자>로도 익숙한 새뮤얼 셰퍼드 사건의 주인공이다.) 

이 여자는 땅콩 알레르기가 있으면서 왜 하필 땅콩을 삼키고 죽었을까?
이 여자는 대체 왜 침대에 누워만 있는 거지?
이 여자를 차마 눈을 뜨고 볼 수 없을 정도로 잔혹하게 살해한 것은 정말 남편일까? 

이런 물음표들을 안고 한 여자의 죽음에 얽힌 수수께끼를 따라가다 보니, 어느새 사람과 사람의 관계, 그 이면, 인간의 내면에 깊이 자리한 잔인함 등을 마주하게 된다. 블랙 유머, 신랄한 풍자, 인간 심리에 대한 예리하고도 날카로운 묘사, 제도에 대한 삐딱한 시선을 문장 곳곳에서 만날 수 있다. 유머러스하면서도 책을 덮으면 깊은 슬픔이 느껴지는... 여운이 남는 작품이었다. 

 "우리는 사랑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을까?"
요상하게도 책을 덮은 다음에도 자꾸만 생각나는 소설이다. 

317p. “우리는 결혼에 초점을 두고 이 모든 주제를 살펴볼 것입니다. 히치콕의 영화는 우리가 사람을 만날 가치가 있는 인물로 발전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일까요? 모든 영화의 첫 번째 기능은 짝을 이루게 해주는 것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글쎄요, 일단 짝을 이루게 되면 그 사람들은 다음에 오는 단계를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을까요? 우리는 관객일까요? 영화 속 인물들을, 우리의 아바타를 관찰하고 고민하고 극복하는 과정이 출구가 되어줄 수 있을까요? 결혼은 여러분의 인생을 구원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결혼은 길고 긴 이중 살인 행위의 시작에 불과할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