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
노희경 지음 / 김영사on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 읽지 않는 자, 모두 유죄"라는 리뷰 제목이 언젠가 어디선가 튀어나와줄 것만 같은 <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를 읽었다.
나에게는 언젠가 배우들을 매개로 한 것이 아닌,
글을, 종이를 매개로 한 '노희경'을 읽고 싶다는 제법 강한 소망이 있었다.
그 큰 기대 때문이었을까.. 사실 내가 기대한 이야기는 아니었던지라, 실은 별 하나만큼의 실망도 했다.
그러나 드라마는 드라마, 책은 책일 뿐이고!

작가에 대한 궁금증에 비례할 속도로, 알라딘 컵과 함께 당일배송되어 온 책을 읽어내려갔다.
읽는 데 오래 걸리지는 않지만 음미하는 데는 조금 시간이 걸릴지도 모르겠다.
퍽퍽하고 건조하면서도 따뜻하고 아릿한..
그녀의 어머니가, 아버지가, 사랑이, 그녀의 삶의 단편들이 실려 있다.
중간중간 <그들이 사는 세상>의 내레이션이 섞인 것도, <그사세>를 즐겨보는 편인 나로서는 싫지는 않았다.
하지만 그 페이지에 드라마가 아닌 그녀의 이야기가 더 있었으면 조금 더 좋았겠다, 싶은 아쉬움이 있다.
허나 말랑말랑한 삽화가 있던 그 자리에도 그녀의 이야기가 더 있었으면 좋았겠다, 싶은 건... 과한 욕심이겠지.(더 많은 그녀의 글로 조금 더 두터운 한 권의 책이 채워질 때까지, 다소 오랜 시간이 걸려도 난 기꺼이 기다릴 용의가 있었다구..)

참 따뜻한 사람이구나..
난 계속 따뜻한 드라마를 볼 수 있겠구나, 하는 게 나의 감상.
그녀의 다음 드라마가, 그녀의 다음 책이 벌써부터 기다려진다.
 

- 사랑에 배신은 없다. 사랑이 거래가 아닌 이상, 둘 중 한 사람이 변하면 자연 그 관계는 깨어져야 옳다. 미안해할 일이 아니다. ... 그대의 잘못이 아니었다. 어쩌면 우린 모두 오십보백보다. 더 사랑했다 한들 한 계절 두 계절이고, 일찍 변했다 한들 평생에 견주면 찰나일 뿐이다. 모두 과정이었다. 그러므로 다 괜찮다.   - p.24 

- 그런데 나는 100퍼센트는 아니지만, 70퍼센트는 괜찮다고 생각한다. ... 자기합리화라 해도 뭐 어쩌겠는가. 자기학대보단 낫지 않은가. - p.38

- 사랑이 믿음보다 눈물보다 먼저 요구하는 것, 그것은 대상에 대한 끊임없는 관찰과 예민함이다. 그 예민함과 관찰은 실제의 시간보다 그 시간의 시간을 훨씬 느리고 길게 한다. -p.74

- 도대체 누가 야휘와 보영을 만나게 했는가? 만나서 사랑하게 했는가? 사랑해서 매달리게 했는가? 매달리는 걸 뿌리치게 했는가? 사랑이 사람의 힘으로 좌지우지되는 게 아니라면 그들의 만남이 애초에 그들이 의도한 것이 아니라면, 서로가 만나서 고통받는 그 대가는 모두 신이 대신 져야 할 짐이다. - p.82    

- 남의 상처는 별 거 아니라 냉정히 말하며 내 상처는 늘 별 거라고 하는, 우리들의 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