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장 선거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약간의 편식을 하긴 하지만, 난 일본 소설을 좋아한다.

내가 골라 읽는 작가 중, 단연 으뜸은 바로 ‘오쿠다 히데오’다.

가끔 트집 잡고 싶어지는 작가들이 있는데, 오쿠다 히데오는 열외다. <남쪽으로 튀어!>의 강렬한 첫인상 때문이었을까, 그의 소설이 그냥 무작정 좋기 때문이다.

누구는 오쿠다 히데오 소설이 가볍다고 하던데,

경쾌하기는 하지만 결코 가벼운 소설은 아니다.

솔직히 말하면, 침울하면서 대놓고 주제의식을 팍팍 풍기는 소설은, 이제 ‘노 땡큐’다.

내 삶도 충분히 팍팍한 것이다. 어쩌면 남의 아픔까지 같이 아파해줄 여유가, 아량이 없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적당히 즐거우면서도 대신 속 시원하게 할 말 다 해주고, 그것도 모자라 생각할 거리까지 던져주는 오쿠다 소설이 난 좋다. 


그의 신작 <면장 선거>는, <공중그네> 3탄쯤 되는 작품이다.

하지만 인기 있는 작품을 재탕, 삼탕하는 그렇고 그런 작가나 작품과 비교하지 말기 바란다. 개인적으로는 <공중그네>보다 <면장 선거>가 더 재미있었다.

같은 강박증을 다루면서도, 좀 더 풍자적이고 해학적인 성격이 강해졌다고 할까?

거물급 유명인사편이라고 우리 범인들과 동떨어진 이야기일 거라 생각하면 오산이다.

그들은, ‘주위에서 기대하는 대로, 그 기대를 무너뜨리고 싶지 않아 너무 애쓰게 되는’, ‘똑같으면 영원히 뒤처질 뿐이라고 생각, 프로가 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혹은 당장은 ‘직장 상사의 파벌 싸움에 휘둘리는’ 바로 ‘우리’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가끔 아이의 순수함이 간절하게 그리울 때가 있다. 그리고 오쿠다 소설은 그 순수함을 읽을 수 있어서 좋다.

좋고 싫음이 분명한, 천진난만한 아이 같은’ <공중그네> 시리즈의 이라부를 보다보면,

또 세상 무서울 것 없이 자기의 신념을 거리낌 없이 부르짖는 <남쪽으로 튀어>의 이치로를 보다보면,

나도 가끔은 이라부처럼 체면이고 뭐고 생각할 것 없이 싫은 건 “싫단 말~야~” 하고 말하고 싶어지고,

가끔은 이치로처럼 굳건한 소신과 용기를 갖고 싶어진다.

하지만 현실의 나는, 그저 이치로와 이라부에게 위안을 얻을 뿐이다.

그래도 그게 어딘가, 읽는 동안 용기가 들끓고 웃을 수 있었던 것만으로도 나는 만족한다.


오쿠다 히데오가 보여주는 세계는 내게 여전히 매력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