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져 가는 우리의 얼, 도깨비 인문 그림책 16
김성범 지음, 노성빈 그림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원래 설화, 민담, 신화 이야기를 좋아해서 일본, 중국, 서양의 귀신과 괴물, 요괴, 여러 신들의 이야기도 좋아한다. 인도신화, 북유럽신화, 중국의 산해경, 일본의 요괴 만화 등 나름 다양한 종류의 이야기도 읽었다

그럴 때면 왜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신화, 여러 귀신 이야기 책이 없는 걸까 생각하곤 했는데, 아! 아니었다. 우리에겐 도깨비가 있지 않은가!

 

각 나라마다의 특징이 살아있는 여러 귀신들(편의상 귀신으로 총칭해 본다^^;;)이 있으니, 당연히 우리나라에도 있을텐데도 도깨비를 간과한 거다

(도깨비야, 미안해~)

익히 알고 있는 뿔 달린 도깨비가 우리나라의 것이 아닌 것은 여러 귀신들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알게 되었는데, 아이들에게 읽히기 쉬운 책은 마땅치 않아 이야기로만 전달했었다. 그런데 이번에 내 아이도 읽을 수 있는 동화로 나왔다고해서 반갑게 맞이했다

 

바로 서평을 쓰게 된 이 책, <사라져 가는 우리의 얼, 도깨비>


찬란하고도 아름다우신...그 누군가가 생각나는 도깨비는 잠시 접어두고~

오늘은 우리의 얼, 도깨비에 대해 알아보기로 마음 먹었다

 

왜 사라져 가는 우리의 얼인지, 왜 도깨비 책을 내게 되었는지 알려주는 글쓴이의 마음이 절절히 느껴진다


그랬다...

우리나라의 최대 암흑기, 일제의 침략으로 인해 아주 모질게 괴롭힘 당했던 그 시절, 우리의 진짜 도깨비는 일본 오니의 모습으로 남아버렸다!

우리의 민족성을 말살하려는 목적으로 이른바, 일본과 조선이 하나라는 '내선일체', 일본과 조선의 조상이 같다는 '일선동조론'에 의해 도깨비 마저도 오니화하여 우리의 진짜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최근 우리의 도깨비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상당한 인식의 개선이 이루어졌지만, 내가 찾아본 바에 따르면 2008년 초등학교 2학년 교과서의 도깨비그림과 2016년 초등 영어교과서에 등장하는 도깨비 가족의 모습은 여전히 일본의 '오니'였다 이 책에서도 그러한 점을 꼬집으며 알리고 있어서, 우리와 아이들이 자연스레 상상하던 도깨비의 모습이 오니라는 걸 분명히 하고 있다 (심지어 혹부리 영감님은 일본의 전래동화다!)

 

비단 모습을 잘못 알고 있었다는 사실만을 알리진 않는다

잘 알려지지 않은 바다 도깨비, 산 도깨비라는 종류에다, 도깨비의 어원, 어떻게 도깨비가 생겼는지, 사는 곳은 어딘지 등도 아이들이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고 있다. 간간히 등장하는 어려운 용어(석보상절, 고수레 등)는 각주를 두어 글 아래에 설명해 놓는다


우리 아픈 역사의 산 증인인 도깨비의 모습을 책을 읽고 상상해 보았다

수북한 털, 큰 체격, 장난을 많이 치고, 술과 메밀묵을 좋아하며, 사람을 돕기도하는 친근한 도깨비.(뿔은 없다고도 있다고도 하는데, 전해지는 이야기 속 도깨비를 보면 뿔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이 책을 읽고 여러 블로그와 다른 책들을 검색하여 살펴보면서 더 많은 사실을 알게 되었고, 덕분에 오래간만에 아이와 신나는 독후활동도 해 보았다

 

*도깨비 탈 만들기


*책을 만드신 두 분 작가님과 미래아이 출판사, 서평의 기회를 주신 허니에듀에 감사합니다!!

 

#허니에듀 #허니에듀서평 #허니북클럽 #사라져가는우리의얼도깨비 #진짜도깨비 #미래아이 #오니 #혹부리영감 #도깨비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