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울, 교회에서 길을 찾다 - 바울에게서 듣는 가정교회 이야기
안희열 지음 / 두란노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클레시아' 란 속뜻은 '건물' 이 아닌 '모임' 을 의미한다.


   "진짜 교회가 하고 싶다!" 교회에 대한 상처와 아픔이 있는 사람들 모두가 공감할 말이다. 우리는 다양한 교회의 모습에 실망하고 절망했다. 그래서 교회를 떠났다. 그렇다고 하나님을 떠난 것은 아니다. '가나안 성도' 들을 위해 오늘날 교회는 어떤 고민을 하는가? 그들을 또 하나의 영역으로 둔 채 존재 자체를 존중해주어야하는 것인가? 아니면, 그들이 다시 교회(성도)로서 살아갈 수 있도록 방법을 모색해주어야만 하는 것인가? 선교를 주제로 한 이 책은 현재 교회가 해결하지 못하는 다양한 병폐들에 대해 언급한다. 그리고, 실제적으로 많은 영감과 도움을 준다. 이 책의 마지막 장을 덮자말자 '아! 책모임 하고 싶다' 하는 간절함이 생겼다. 우리 주변에는 '진짜 교회' 를 하고 싶은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기 때문이다. 1-3세기 교회의 모습은 그들에게 먼 미래의 교회에게 '원형으로 돌아가자' 는 무언의 불씨를 넣어준다. 우리는 뭔가 뒤틀렸고, 뭔가 어그러졌고, 뭔가 어색한 교회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 이라는 이름으로 많은 것을 간과하고 그냥 넘어간다. 이 책을 읽다보면, 모두가 느낄 감정이다. 우리는 왜 현재 이런 교회의 모습과 전혀 다른 모습의 교회를 하고 있는가? 시간과 공간의 차이로 인한 자연스런 차이인가? 아니면, 누군가가 잘못되었음을 밝혀내야하는 '변질의 문제' 인가? 저자는, 1세기 가정교회 선교 정신이 한국 교회를 살릴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1세기 신약 교회 선교 정신이 케케묵은 과거의 유산이 아니라 지금도 여전히 우리가 가져야하는 스피릿(sprit)이라 한다. 오늘날의 시대는 '바른 말을 바르게 할 수 있는' 세상이다. 과거에 비해 권위적으로 압박감이 넘치는 교회의 분위기는 많이 상쇄되었다. 필자는 이것이 '교회 변혁의 기회' 라 생각한다. 한국 교회의 침체 문제는 올바른 교회의 회복에 달려 있다. 회복을 원하는 자들에게 이 책은 많은 도움을 준다. 더 많이 읽히고, 또 더 많은 책모임으로 열매 맺기를 소망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