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아직 희망이 있는가? - 100년 후에도 희망이 되는 기독교를 위하여
김형석 지음 / 두란노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망각과 무뎌짐의 굴레로부터

벗어나지 못한다면,

더 이상의 미래는 없을지도.

 

기독교는 무엇이며, 종교는 무엇인가. 이 책은 그런 질문들에 대해 어떤 형식적이며 이론적인 이야기를 들려주지 않는다. 그것들은 고착화되어 있지 않고 생동하는 것으로서 우리 삶의 영역의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음을 분명히 강조한다. 주 무대는 한국이 되어 역사적으로 영향을 끼친 기독교에 대해서, 그리고 그 기독교가 마땅히 기독교라는 한 종교로 오늘날의 우리에게 작용하기 위한 것으로 본질적 정의를 풀어가는 것이다.

 

자칫 잘못하면 기독교가 개독교라고 불리며, 목사님이 목사놈이라고 불린다. 어쩌면 훗날에는 잘못을 하지 않고도 너무나 당연한 대명사로 불릴 수도 있을 것이다. 기독교를 향한 사회로부터의 신뢰는 점점 떨어지고 있는 것이 확실하다. 유럽과 미국이 그런 과정을 밟았으며 한국 또한 머지않았음을, 향후 100년을 견지하며 계속 주의해야 함을 저자 또한 역설한다. 이제는 누구 하나의 잘잘못으로 치부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100세의 나이를 넘기며 아직도 활발한 저작활동과 강연을 펼치고 있는 저자이다. 그는 살아온 100년을 되돌아보고 또 다시 살아갈 100년을 내다보며 한국 기독교를 향한 뼈아픈 조언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희망의 메시지들을 함께 전한다. 그는 마치 예언자(선지자)와 같은 역할을 담당한다. 구약 성서의 예언미래에 일어날 일을 확정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계시된 말씀을 대언한다'는 뜻이다. ‘너희가 돌이키면 충분히 멸망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지금의 기독교에도 아직 희망이 있으니 얼른 반성하고 노력하자는 것이다.

 

그것은 자신의 이익만 챙길 줄 아는 자에게는 일어나지 않는다. 자신의 주변을 둘러보아야 한다. 우리의 공동체는 평안한지, 사회는 기독교에게 무엇을 원하는지, 예수님께서 행하셨던 흔적은 어떻게 다시 드러날 수 있는지를 분별해야 한다. 그래서 저자는 기독교의 사명은 기독교의 세상화가 아니다. 세상적이고 세속적인 것을 그리스도화하는 일이다.”라고 강조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 선포들에 우리는 반응할 수 있을까? 기독교의 정체성을 망각할 때가 있고, 기독교의 방향성을 잘못 설정한 것에 무뎌지곤 하는 우리에게 마땅히 읽혀야 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