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인포그 - 내 삶의 몰입과 집중을 되찾는 10가지 방법
질 P. 웨버 지음, 진정성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브레인포그(brain fog) : 머리가 멍해지면서 기억력을 비롯한 인지기능과 집중력, 주의력 등이 저하되는 상태.

만성 스트레스에 시달리며 많은 스트레스로 인해서 멍해진 상태를 바로 브레인포그라고 하는데요, 사실 브레인포그 상태에 있는 현대인들은 참 많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과도한 업무나 과도한 책임감을 가지고 만성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분들이 분명 많으실거에요.. 이 책은 그 만성 스트레스를 잘 관리해서 브레인포그를 비롯해 현재 불편을 겪고 있는 부분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는 실용서입니다.

각 챕터마다 일단 어렵지 않게 증상에 대한 설명부터 시작해서 여러가지 문제해결 트레이닝에 대한 친절한 안내, 그리고 마지막으로 총정리까지 해주고 있는 구성으로 아주 쉽고 친절, 깔끔한 구성이 마음에 들었어요

-브레인포그를 이해하고 대처하려면 내가 통제할 수 없는 외부 요인에서 원인을 찾고 있진 않은지 살펴야 한다. 나의 성공과 실패를 결정짓는 주체가 자신이라 생각하는가 아니면 운명이라 생각하는가?

일단 읽는 동안 자신의 문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데요, 저의 경우에는 이 책을 읽기 전에는 알아차리지 못했던 부분이었던 '자기연민의 덫'에 빠져있다는게 가장 문제였고 그 해결법인 '내가 제어할 수 있는 것 찾아보기' 트레이닝에 큰 도움을 받았습니다.

문제 상황이 버텨낼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면 그냥 포기하고 삶의 희생양이 되었다고 체념해버리게 되는것이 바로 자기연민의 덫인데요, 오히려 스트레스가 더 커지게 된다고 합니다. 책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해준 목록을 살펴보며 내가 제어 가능한 부분을 작성해보면서 조금이나마 무력감이 사라지는 기분이 들었어요

-브레인포그를 겪는 사람은 남들과 어울리는 사교적인 모습을 연기하지만 내면 깊은 곳에는 아무도 들이지 않는다.

-인생이라는 배가 가라앉을 때 인간관계를 등한시하는 것은 구명조끼를 배 밖으로 내던지는 행위와 비슷하다.

-의미 있는 교류가 줄어들수록 부정적이고 자기비판적인 사고는 늘어난다.

-사람들과의 교류에 대한 기본 욕구가 채워지지 않으면 가짜 연대감을 느끼기 위해 자멸적 출구에 의지할 가능성이 커진다.

저는 사실 예전엔 인간관계를 등한시했었는데 이 또한 만성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었다니 놀랐어요, 그리고 저는 이 공간에서 소통하며 치유받는 기분을 많이 느끼고 난 이후에 현실 세계에서도 인간관계가 다시 넓어지고 실제로 브레인포그 증상도 많이 좋아졌는데 그게 다 실제로 효과가 있었던거죠

그리고 '내면의 회초리'에 대한 내용을 읽으면서 제 자신의 내면의 소리에 대해 객관적으로 생각해봤는데 생각보다 더 너무 혹독하게 말하고 있어서 놀랐고 앞으로는 좀 더 나 자신에게 다정하게 말해줘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정리하자면 읽으면서 자기 객관화를 하기 좋았고, 불편한 부분들을 고치는데 큰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책이었습니다. 평소에 스트레스 많이 받는 분들 계시면 한번 읽어보세요

소정의 원고료와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