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지 브라이도티, 포스트 휴먼 컴북스 이론총서
이경란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차세계대전은 유럽 정신의 근본인 인간, 이성에 대한 믿음을 깨뜨렸다. 백인 남성으로 대표되는 표준, 상식, 규칙이 우리에게 가져다 준 것은 폭력과 혐오에 지나지 않았다. 이후 인문학은 우리를 인간 중심적 사유를 벗어나고자 끊임없이 노력해왔다. 로지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먼』은 '인간 이후'를 살아가는 인간에게 필요한 새 사유를 제공한다. 너무나 확고하게 믿어지던 '나'라는 고정된 주체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주체의 자리는 '유목적 주체'가 자리한다. 내가 어디에 배치되는지에 따라 나는 매번 다르게 호명되고, 다른 형태를 갖는다. 이는 몸의 차원에서도, 정체성의 차원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문제다. 브라이도티의 사유는 질 들뢰즈의 탈주체이론(혹은 -되기)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는데, 크게 보면 그 사상의 끝에는 서구 철학의 변종 스피노자가 있다. 일찍이 재현representation과 유비analogy가 아닌 '일자'와 '생성'을 말한 스피노자의 신과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먼은 양태 사이의 위계를 설정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슷한 면이 있다. 물론 여전히 이성의 힘을 믿는 몇몇 학자들에게 포스트휴먼 논의는 '생기론', 혹은 '반지성주의'라는 비난을 받기도 하지만,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먼』은 반지성주의가 아니라 이성의 이름으로 집행되는 모든 폭력을 극복하기 위한 윤리적 실험이자 치열한 성찰의 결과물이다. 『포스트휴먼』이 이성의 폐해를 지적하며 벌어지는 몇몇 무차별 폭력과 명백히 거리를 두고자 하는 이유다. 그가 포스트휴먼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비인간 존재, 몸의 부산물(이라고 일컬어지던 것들), 기계 사이를 횡단하며 탈주체성을 확보하고 모두와 함께 공존하는 방법이다.

브라이도티는 현재진행형의 학자다. 오늘날 논의되는 수많은 포스트휴먼 담론의 중심에 그가 있다. 그의 주요 저서 『변신』, 『유목적 주체』, 『포스트휴먼』이 모두 번역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 책은 그 모든 책들의 후발 주자로서 브라이도티의 사상, 나아가 브라이도티와 얽힌 수많은 사유들에 접근할 수 있는 입문서 역할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앨프레드 히치콕의 서스펜스 테크닉 커뮤니케이션 이해총서
장미화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맥거핀, 레드 해링 등 히치콕이 자신의 영화에서 서스펜스를 구축하는 아이템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현기증>>, <<사이코>>,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이창>> 등 히치콕의 대표작을 통해 '히치콕 서스펜스'라는 하나의 형식이 어떻게 구축되어 왔는지 알 수 있는 책이다. 별로 길지 않은 내용이지만 꽤 많은 영화들을 레퍼런스로 다루고 있어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가볍게 읽어볼 수 있는 책이다. 프랑수아 트뤼포, 장-뤽 고다르, 클로드 샤브롤 등 60년대 유럽의 작가주의 영화를 대표하는 인물들과 할리우드 산업 사이의 묘한 연결고리를 짚은 것도 재미있는 부분이다. 오늘날 영화에서 장르는 법칙이라기보다 파괴와 재구성의 대상이기도 하다(작년 칸 황금종려상의 주인공 줄리아 뒤쿠르노의 <<티탄>>을 생각해보라. 뒤쿠르노의 영화는 '호러'라는 장르 문법에 있지만 동시에 그 어떤 문법과도 친밀하지 않다). 히치콕이라는 이름은 고전이면서 동시에 별종이다. 법칙에서 작가주의를 발견하는 작업이 필요한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맨 끝줄 소년
후안 마요르가 지음, 김재선 옮김 / 지만지드라마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덕적 예술관 사이를 뚫고 나오는 실재에 대한 욕망에 대하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타디움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이해총서
석원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포츠가 국가 사업과 긴밀하게 연결된 한국의 특성이 고스란히 반영되어서 한국 근현대사를 훑는 듯한 재미가 있다. 스포츠를 좋아하고, 그에 대해 더 즐겁게 이야기할 거리가 필요하다면 읽어볼만 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N번방 이후, 교육을 말하다 - 페미니즘의 관점
김동진 외 지음, 김동진 기획 / 학이시습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N번방‘이라는 하나의 사건으로 우리를 연결시키지만, 단순히 그 사건의 상징적 의미에 매몰되지 않고, 이 사건에 접속되는 모든 이들의 입장을 단일한 입장으로 축소시키지도 않는다. 이 세상을 살아가는 모두를 위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