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식과 일연은 왜 - 삼국사기.삼국유사 엮어 읽기
정출헌 지음 / 한겨레출판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부식의 <삼국사기>와 일연의 <삼국유사>는 아득한 삼국시대 면모를 전해주는 매우 소중한 우리의 역사 고전이다. 사실 우리가 알고 있는 삼국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은 이들 두 고전에 기대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전하는 서적 가운데 가장 오래 된 최고(最古)가 바로 <삼국사기>이고, 우리 고대사를 가장 흥미롭게 담고 있는 최고(最高)가 바로 <삼국유사>. 이들 두 고전으로 말미암아 한반도 역사의 서막을 화려하게 장식했던 고대 국가의 발자취를 조금이나마 더듬어 볼 수 있는 것이다.”[김부식과 일연은 왜] 5

 

역사 공부를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든 생각은,,, 과연 우리가 배워왔던 역사적 사실을 얼마나 믿어야 할까?,,,였다. 역사야말로 특히 당대에 가장 유명한 사관이 쓴 역사서라면, 객관적인 사실은 아예 배재하고 저자 개인의 주관적인 사상이나 가치관에 시대적 요구, 왕권을 잡은 이들의 정당화를 위해 기술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한 동안 아주 강력한 배신감에 사로 잡혔었달까? 하지만 그 또한 역사서의 가장 강력한 매력이리라. 역사서는 그 해석에 따라 인물에 대한, 시대적 상황에 대한 해석이 달라질 수 있음이고, 또 그 해석한 시기에 따라 그 시대 사상가와 문화, 대중이 주목한 인물, 주목한 시대 상황도 짐작해 볼 수 있음일 테니 말이다.

 

때문에 역사서야 말로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할 대로 자극하는 강력한 자극제임이 틀림없다.

그렇다면 감춰진 진실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야말로

역사의 가장 큰 딜레마이자 즐거움이 아닐까?

 

그 즐거움의 한 축이 되는 역사서가 바로 삼국사의 양대 역사서,,,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엄격한 유교사상을 기반으로 귀족적인 정사 불리는 <김부식의 삼국사기>와 불교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서민적이면서도 설화와 전설까지 수용한 야사라 불리는 <일연의 삼국유사>일 것이다.

정출헌 부산대 한문학과 교수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두 역사서의 차이, 그리고 김부식과 일연의 차이를 ?”라는 물음으로 시작한다.

 

왜 같은 이야기를 다르게 말하는가?라는 것이다. 앞서도 얘기했듯이 두 고전이 그리고 있는 삼국의 역사는 참으로 판이하다. 그리고 저자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삼국사기는 정사, 삼국유사는 야사란 사실이 아니란 사실을 짚고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편찬자의 시각에 따라, 또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삼국의 역사는 다른 모습으로 그려질 수밖에 없었고 그 속에서 그 시기의 사상과 생각, 그리고 신분에 따라 달리 보이는 사건의 관점, 가치에 대한 배경에 대해 역사가 어떻게 해석되고 쓰여지는지, 어떻게 누락되고 왜곡되는지를 나름 이해(?)하게 된다.

 

김부식의 <삼국사기>편찬 작업은 자신의 오랜 정치적 경륜을 총동원해 지난 역사를 바로 세우려는 고군분투였고, 정권이 바뀔 때마다 역사관을 바로 세워야 한다고 떠드는 건,,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는 사실이고, 왜 열전에 그리 목숨을 걸며 많은 부분을 할애했는지도 이해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두 역사가의 사관 속 '여성'에 대한 해석에 상당히 공을 들였는데,,,(예를 들면 공주는 왜 미천한 사내를 만났을까-평강공주와 선화공주”, “여자는 나라를 다스리지 못한다?-선덕, 진덕, 진성여왕등등),,, 김부식은 유교적 사관에 사로잡힌 남성우월주의자이고,, 일연은 불교적 사고관에 의해 여성에게 관대했을까? 역사서에 서술된 여인네들의 대한 생각은 두 역사가 모두 철저히 남성 중심적이었다. 남존여비사상은 지위고하나 사상을 불문하고 뿌리 박혀있었던 모양이다.

 

어찌됐든 신라, 고구려, 백제라는 삼국의 역사와 그 속에서 숨 쉬는 역사적 인물들, 그리고 시대와 인물에 대한 해석, 해석에 대한 해석은,,, 우리에게 역사에 대한 또 다른 독법을 제시한다. 물론,, “역사 바로 세우기, 역사 바로 잡기를 그 누가 할 수 있으랴는 생각이 더 짙어지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