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래시 정치 - 안티페미니즘은 어떻게 권력이 되었나
신경아 지음 / 동녘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125 [2000년대 이후의 여성혐오]

2) ‘여경’은 왜 타깃이 되었나

일본의 여성학자 우에노 지즈코는 “왜 여성을 혐오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가부장제 문화의 남성 동성사회적 욕망구조 때문이라고 답했다. 성적 주체로서 남성 집단이 남성됨이라는 동질성을 유지하기 위해 여성과 남성답지 못한 이들을 배제 차별하는 문화적 의식과 관행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여성혐오는 남성성에 내포된 불안과 가부장의 위기 속에서 남성성의 공격적, 마초적 통일성을 갈구하는 현상이라고 해석한다. 우에노 지즈코는 여성 타자화가 이루어지는 사회, 즉 여성을 남성과 동등한 성적 주체로 결코 인정하지 않는 사회를 남성지배사회라고 규정하며 이를 구성하는 3종 세트로 여성혐오, 남성동성사회성, 동성애혐오를 지적했다.
.
.
사실 이 책을 읽으면서 더욱 더 회의감에 빠져들 수 밖에 없었다. 고작 여성을 지배하겠다고 이기적인 망할 3종 세트를 저질러버리다니. (여성 타자화가 이루어지는 사회, 즉 여성을 남성과 동등한 성적 주체로 결코 인정하지 않는 사회를 남성지배사회라고 규정하며 이를 구성하는 3종 세트로 여성혐오, 남성동성사회성, 동성애혐오를 지적했다.) 더군다나 각기 다른 나라도 모두 비슷한 양상을 띄었다는 것 또한 더욱 그렇게 했다. 남성의 본질은 그런 동물이라는 것이 도출된 셈이다. 나는 나름대로 오랫동안 이 문제를 계속해서 집착해왔다. 초반에는 답답함, 그 다음은 분노 현재는 허무함에 시달리고 있다. 결국 안티 페미니즘의 토대는 우에노 지즈코의 말대로 (가부장제 문화의 남성 동성사회적 욕망구조 때문이라고 답했다. 성적 주체로서 남성 집단이 남성됨이라는 동질성을 유지하기 위해 여성과 남성답지 못한 이들을 배제 차별하는 문화적 의식과 관행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여성혐오는 남성성에 내포된 불안과 가부장의 위기 속에서 남성성의 공격적, 마초적 통일성을 갈구하는 현상이라고 해석한다.) 허위의식 말고 또 다른 표현이 있을까? 어쩌면 이 좆같은 이기적인 심리가 이 젠더 문제의 시발점 일뿐 다른 건 이들이 저지르는 것 중 일부인 합리화를 위한, 명목만 내세운, 혹은 품위있는 척을 위한 부차적인 소스에 불과할지도 모르겠다. 허탈하다. 그저 마녀사냥에 불과한. 옹졸하기 짝이 없는 읽다보니 저절로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이 떠올랐다. 인류애를 어디서 다시 되찾아야 할지 혼란스럽지만 만약에 내가 이 책을 알지 못했더라면 더욱 저들의 철없는이기심을 감정적인 것 말고는 대처할 만한 것이 없었을 것이다. 나는 앞서 개인 SNS에 책소개를 하면서 공부를 해야한다고 말했다. 이래서 해야한다. 서평을 계획하면서 기사도 찾아봤는데 저들을 간결하게 딱 표현한 타이틀을 발견했다. “여성혐오에 기댄 남성들의 반격“ (연합뉴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