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으로 다시 쓰는 공주이야기
희연.일선.소라 지음 / 이프북스(IFBOOKS)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프북스 편집자 조박선영은 프롤로그에서 왜 하필 구전에 페미니즘을 접목시켰는지 입장을 밝힌다. 인어와 공주에서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천일야화 등 전 세계 모든 구전된 전설과 민담 등에서 아들은 아버지를 죽여야만 세상의 최고 권력을 갖는 왕이 되고 신이 될 수 있었다는 슬픈 듯 잔혹한 설정이 정신분석학으로까지 발전했다.‘ 고

언급하며, 이에 반해 딸의 서사는 어떤지 의문을 제기하였고 두번째는 서동요의 선화를 향한 성적인 범죄, ‘사회적 성공’을 맹목적으로 추구하는 남성 캐릭터들이 그 주변 사람들에게 얼마나 폭력적인지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과 경험을 이야기를 언급하고, <나의 딸 연이> 에서는 모녀가 어떻게 성장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하면서 딸의 연인을 살해할 만큼 갈등을 겪는

관계가 아닌 협력하고 지지하는 모녀관계와 옛이야기 속 나이 든 여성들의 전통 서사나 캐릭터가 지나치게 ‘천편일률적’으로 악의 모습을 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시사한다. 편집장의 의견에 동의한다. 이 전복적인 옛 서사에 희열과 쾌감을 느낄 수 밖에 없다. 필력을 명목으로 욕을 할지도 모르지만 사실 그런 손가락질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을 뿐더러 남성중심의 여성서사는

분명 개입을 경험할 필요가 있으며, 전복적인 여성이 쓴 여성서사로 인해 여성들의 주체성이 전파될 것을 두려워하는 것이 비난의 본질이다. “사랑이 전부인 비련의 여주인공은 그만. 가족에게 폭력을 당하면서도 희생 정신을 발휘하는 무력한 모성성도 이제 그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