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기원 - 인간의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
서은국 지음 / 21세기북스 / 201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 문학과 예술 작품은 굳이 예술가의 직접적인 경험 기반을 두지 않는다. 

- 반면에, 과학적인 설명은 탁월한 통찰력과 상상력, 그리고 직접 관찰 및 오감으로 기록

- "에드 디너" 최초 행복에 대한 과학적 연구

- 행복의 본질은 감정인데, 머리에서 만들어내는 일종의 생각이라는 착각 



" 인간도 동물인데 왜 행복을 느끼는가?"

다윈 VS 아리스토텔레스


- 견해와 사실은 다르다

  그러므로 사실이 아닌 생각을 바로 잡아주는 과학의 매력

- 이유없는 목적(pointless universe)를 받아들여라 "눈먼 시계공"

- 세상은 그 누군가의 계획과 목적에 의해 만들어진 것도 아닏. 인간을 더 똑똑해지기 위해 살아온 것도 아니다.


- 인간이 우주의 특별한 존재라는 오만에 지동설이 한 방을 날렸다면, 여기에 KO 펀치를 날린 것은 다윈의 진화론이다. " 인간도 자연의 법칙을 따라 존재한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