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길들이기 - 번역편
안정효 / 현암사 / 1997년 6월
평점 :
절판


번역은 낯선언어를 낯익은 언어로로 바꾸는 일이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낯선언어에 중심을 두는냐 아니면 낯익은 언어에 중심을 두느냐의 중심설정에 관한 가치판단이다. 다시말해 번역을 할 때, 원어의 문화적 맥락과 원저자의 의도를 원형 그대로 살리느냐 아니면 이질적인 언어를 읽는 수용자의 의식에 부합하는 언어로의 적극적 변환을 해야 하느냐 하는 것이다. 저자는 전자에 중심을 두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나 또한 저자의 생각에 공감하는 입장이다.

실상 번역의 가장 큰 문제는 오역으로 인한 수용자의 낯설음이지 낯선언어 자체가 수용자를 당황하게 하는 것은 아니다. 오리엔탈리즘의 폐해는 바로 이런 왜곡된 문헌주의의 결과이다. 동양에대한 그들의 낯설음을 억지로 신비화 시키는 주체 중심의 낭만주의는 근대적 사고방식에서 기인하는 문명의 해악이다.

있는 그대로의 존재를 인식하는 칸트적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존재의 인식에 접근하기위해 최대한도의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세계화와 전지구적인 자본주의의 물결이 세찬 이 시점에서 번역의 문제는 제대로 한번 논의를 벌여야 할 과제이다. 안정효는 150여권에 이르는 그의 번역 작업을 토대로하여 생생한 경험에서 우러나온 구체적 번역의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번역에 관한 변변한 이론적 축적이 없는 불모적 상황에 이러한 책이 나왔다는 것은 그나마 다행이랄 수 있다. 물론 80년대에 김용옥이 한문해석학을 내세우고 고전 번역의 방향을 제시하여 큰 논의의 물꼬를 텄지만 후속작없이 없어 흐지부지 되고 말았었다. 1996년에 안정효의 이책과 더불어 두권으로 나온 '오역천하'도 필독을 해볼만한 책이라 생각된다. 앞으로 번역에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번역이 학문적 제도적으로 뒷받침 받을 수 있는 날이 오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