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카치 소설의 이론
게오르그 루카치 지음 / 심설당 / 1998년 5월
평점 :
품절


반성완 교수가 번역을 했는데, 역자는 독문학자로서 발터 벤야민과 루카치 그리고 브레히트와 같은 현대 문학에서 중요한 학자들의 이론들을 체계적으로 소개해온 사람이다.
이 책은 상당히 어려운 문체로 되어있다. 그래서 읽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하지만 재미있는 책이었다.

루카치는 '소설의 이론' 출간 후 수십년이 지난 뒤에 이 책의 한계와 저술 배경 그리고 나르대로의 의의를 밝히고 있다. 2차대전 후의 현실적 상황에서 헤겔의 역사철학과 딜티이의 정신과학의 도움을 얻어 소설이 이시대의 서사 문학으로서 존재할 수밖에 없는 역사철학적 당위성을 설명한다. 그리고 그리스 시대의 총체성을 잃어버린 현대의 서사시로서 소설이 가진 성격과 한계를 밝히고 있다. 소설의 양태를 추상적 이상주의와 환멸의 낭만주의로 나누어 설명하고 이들 양자의 한계를 이야기면서 '빌헬름 마이스트의 수업시대'의 종합적 시도의 성취와 한계를 지적한다.

또한 소설의 마성적 성격과 문제적 개인으로서의 주인공에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이런 설명들은 '내면성'과 '영혼'이라고 명명한 주체와 '세계'라고 이름붙인 객체와의 상호관계, 그리고 작품과 현실적 삶의 관계를 함께 아우러고 있다. 그런점에서 조동일 교수의 '갈래이론'은 그가 루카치와 바흐친의 소설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고 하지만, 많은 부분 이들의 방법론에 영향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이 책이 많은 부분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고 하지만, 완벽한 이해에 도달하지 못한 나로서는 뭐라 비판할 수 없고 다만, 소설이라는 것을 이처럼 철학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책은 지금까지 본적이 없었고 그런 시도가 이책에서는 타당하게 진행되고 있다는것이다. 이 책의 한계를 이해하는 것이 다음단계의 내 행보가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