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비평이론
허상문 지음 / 영남대학교출판부 / 200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이론 개설서는 문학이론의 소개는 물론 문학 연구가들의 이론학습을 나름대로 정리하는 역할도한다. 현대문학 개설서는 크게 외국문학 전공자들의 작업과 국문학자들의 작업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자가 자신의 전공 문학의 원서들을 소화해서 비판적으로 수용하려는 입장에 있다면 후자는 주로 국내에 번역된 이론서들을 위주로하되 원서를 참고로 하여 이론을 정리한다. 특히 후자는 참고서적으로서 원서를 택할대, 나이가 많은 세대일 수록 일본역본을 참고하는 경우가 많고 젊은 세대일수록 영역본을 참고서로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사정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문학의 연구 환경이 미치는 주체성의 확립에 대한 중요성이다.

외국문학 연구자들의 경우는 해당 언어권의 이론들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최신의 이론들까지 적절히 소개하는 장점이 있다면, 국문학자들의 경우는 다양한 외국문학들을 종합적으로 습득하여 소개한다는 장점이 있다. 전문성에서는 전자가 우위에 있고 범주의 포괄성에서는 후자가 우위에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론은 범주는 개설서마다 크게 차이가 나지 않지만 그 이론의 정리나 해석에 있어서는 연구자마다 약간씩의 해석적 진폭차가 있다. 그런점에서 다양하고 많은 개설서를 읽어보는 것은 이론의 정당하고 건전한 이해를 위해서 장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학자간의 이론 주체화 과정을 엿볼 수 있다는 것은 문학 연구의 방법론을 도출하고 자기이론을 도출하는데 많은 시사를 준다.

허상문은 영어전공자로서 나름대로의 주관을 갖고 비판적인 독법으로 영미권의 이론과 대륙의 이론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페미니증 비평 이론과 예일학파의 해체이론 소개는 다른 개설서에 비해 충실한 감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이차저작에 의존하는 국문학자들의 경향에 비해 일차저작을 대상으로 이론정리를 했다는 점에서도 가치있는 노력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토의 이론가들(이글턴이나 레이먼 셀던의 작업)의 개설서와 크게 변별적인 범주도 없고 그 세밀함에서도 뒤쳐지는 감이 없지 않다. 그리고 무엇보다 한국적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접목의 위험성 내지는 정당성에 대한 치밀한 비판이 결여돼 있다는 것은 커다란 결점이다.

이론과 실제 사이의 괴리를 좁혀나가는 작업이 절실한 만큼 가장 시급한 것은 이무래도 우리 문학적 전통에서 산출된 우리의 이론정립일 것이다. 그래서 젊은 학도들은 이론서보다(특히 서양이론)는 문학 작품을 읽는데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될것이다. 그런 점에서 나의 글일기를 반성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