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는 캐나다 리자이나 대학교의 비교 종교학 교수로 있는 오강남이다. 그는 서두의 '독자들에게'라는 글에서 '이렇게 신나는 책을 읽어보지 못하고 일생을 마치는 사람은 김치찌개의 맛을 모르고 한평생을 마치는 사람보다 훨씬 더 불쌍한 사람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떨칠 수 없었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이 책을 다읽고 난 뒤의 내생각도 그와 같다. '장자'는 '도덕경'과 함께 노장 사상의 성전이랄 수 있겠는데, '도'를 말하지 않으면서도 '도'를 내비취고 있는 책이다. 사실 오강남 풀이의 이책은 장자 전문을 담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학자들에게 장자가 직접 쓴 것으로 알려진 내편 7편과 그외에 외편과 잡편에서 자주 거론되는 몇몇 내용들을 담고 있다. 나는 요즘 '낭만주의는 해방이다'라는 명제를 생각해 내고 그기서 나의 사상적 단초를 마련할려고 하고 있다. 직감을 통해 경험과 논리의 협소함을 초월하고 우주의 총체성에댜한 통찰을 얻는 것은 분별지에 속박당한 주객해체의 억압적 담론을 해방할 수 있는 힘이될 수 있다는 믿음을 갖게 된 것이다. 이 힘은 주체 중심의 왜곡된 낭만주의를 넘어 나와 나 이외의 모두를 궁극적으로는 하나로 인식할 수 있는 화엄의 경지를 열 수 있을 것이다. '장자'에서 특히 2장의 '제물론'은 물(인식의 대상인 객체)를 고르게 한다는 뜻이다. 이 장은 모든 분별지의 극복을 통해 있음의 없음과 없음의 있음이라는 상식적이면서도 충격적인 역설을 보여주고 있다. 획기적인 변혁과 그로써 얻을 수 있는 자유는 '도의 경지'를 일컫는 것이다. '도'는 말도 아니고 개념도 아니고, 아무것도 아닌 그 무엇....? 그렇다. 도는 해방이다. 도를 해방이라고 규정한 것 자체는 내가 도를 구속한 것이 되지만 도는 분명 해방이다. 해방 그것이 도인 것이다. '장자'는 심오한 책이다. 개념지어질 수 있는 피동형의 책이 아니라 아무것도 말하지 않으면서도 모든것을 말하는 역설 그 자체의 책이다. 이 역설의 경지는 진리일까? 도일까? 나늠 말하지 못할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