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신론 - 2008년 재편집판
김일열 지음 / 새문사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학의 현재 연구 수준을 평가하기에 좋은 책 한권을 읽었다.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 겠지만 우리의 한국학이라는것이 그 중에서도 특히 국문학이라는 것은 그 역사가 100년이 채 못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우리 국문학은 시간에 비해 엄청난 진전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 말이 국문학에 대한 일괄적인 찬사가 아님은 두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조윤제, 김태준, 손진태, 김재철, 이능화, 정노식과 같은 일세대 한국학의 선구자들이 일본에 의해 굴절된 독일 문헌학을 배워 우리 한국학의 기틀을 마련했다고 볼 때, 현재의 한국학은 지난 시절의 해악을 얼마나 청산했는지 반성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 의미에서 김일렬 교수의 이 저서는 나름의 성과를 보여준다. 김태준의 <한국소설사>는 한국 소설사의 선구적 업적으로서 위대하지만 이 책의 곳곳에서 김태준의 작업을 극복한 흔적들이 보인다. 그 뿐 아니라 그러한 극복이 일정한 수준에 도달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에서는 기존의 여러 연구 성과들을 종합하고 이를 저자 나름대로 정리하면서 자신의 견해를 표명하고 있는데, 그런점에서 가치가 있는 저서라고 말해도 좋을것 같다. 한국 고전 소설 전반에 대한 전체적 정리를 이 한권의 책이 떠맡을 수 없는 것이 사실이지만, 한국 소설사의 각 단계를 대표하는 작품들에 대한 치밀한 분석을 통해 개별 작품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군담소설과 영웅소설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류충렬전'을 들고 있고, 판소리계소설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춘향전'을 분석 함으로써 개별소설 전체를 다루지 않으면서도 비교적 일반적인 한국 고전 소설의 전개와 그 성격을 확인할 수 있게 해 주고 있다.

이러한 작업들이 지속되면서 진전을 보여줄때, 우리 소설론으로 세계 소설사를 설명할 수 있는 보편성을 발견할 수 있으리라. 조동일의 <한국 소설의 이론>은 그런 가능성을 열어 놓은 저서이고, 앞으로 우리의 과제는 명백하다. 국문학의 특수성을 세계문학의 보편성에 합류시키는 작업이 그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