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들의 풍경
김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2년 3월
평점 :
품절


김현의 마지막 평론집 '말들의 풍경'을 읽었다. 89년에 김현이 죽었을 때 나는 김현이라는 사람을 알지 못했고 평론이라는 글쓰기도 몰랐다. 그러나 내가 문학을 한답시고 도서관을 어슬렁거렸을때 가장 강렬하게 그리고 가장 가깝게 다가온 사람들 중의 한사람이 김현이었고 그의 평문들이었다.

그의 전생애가 남긴 글들을 다 읽지 못한, 그리고 다 이해하지도 못한 나는 그의 부재를 의식하지 못하고 있다. 그는 항상 나의 문학적 사유를 따라다니고 있으며 내 의식과 무의식 속에서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육체의 소멸이 영혼의 소멸이 될 수 없음을 나는 확인한다.

김현의 평문은 '이다'체의 단정이 특징이다. 그 단정은 타자의 삶에 대한 자신의 대타적 관계를 부각시키는 장치로 활용되고 있다. 쉽게 말해 그것은 나르시시즘이라고 할 수 있는 강렬한 자기애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그래서 김현의 평문에는 작가들과의 '인정투쟁'의식이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자기의 드러냄이라는 김현의 글쓰기는 이타주의를 배면에 깔고 있으며 인간주의를 그 본질로 하고 있다는 데서 요즘의 젊은 평론가들과는 구별된다. 이타주의와 인간주의를 도반한 인정투쟁의 글쓰기는 그래서 상호인정의, 상호반성과 성찰의 단계로 뛰어오른다. 이 때문에 김현은 지금도 살아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나는 나이기 때문에 너와 달라야 하고, 나는 내가 아니기 때문에 너와 같아야 한다. 나는 너와 같이 싸우고 사랑하지만 네가 아니고, 너는 나와 같이 싸우고 사랑하지만 내가 아니다. 너와 나는, 무서운 일이지만 흔적들이다. 욕망만이 웃는다. 불쌍한 개인성이여, 너는 네가 너를 강력하게 주장할 때, 네가 아니다.'('말들의 풍경'을 시작하며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