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50
고미숙 지음 / 책세상 / 2001년 10월
평점 :
절판


고미숙을 비롯한 '연구공간 '너머''의 멤버들의 특징은 학문의 탈영토화라고 할 수 있는 학문의 경계를 해체하는 것이다. 그 경계를 넘나들고 가로지르면서 기성의 학문에 대한 비판적 의혹을 강렬하게 내비취고 결국은 그것을 해체의 논리로 전복시킨다. 그러나 그들의 학적 담론은 그 세련된 레토릭에도 불구하고 푸코와 데리다, 들뢰즈와 가타리의 모사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일명 포스트모더니즘이라고 하는 사조에 기반한 그들의 해체적 전략은 모더니즘에 대한 심각한 오해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것을 빨리 깨달아야 할 것이다. 그 오해는 끝없는 착종을 불러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 책은 개화기의 문헌, 특히 대한매일신보의 개화등가사를 중심 자료로 하여 우리의 근대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민족', '섹슈얼리티', '병리학'의 세 코드로 읽어내고 있다. 내부자의 시선이 아닌 근대의 외부에서 외부자의 시선으로 근대를 탐색하겠다는 저자의 의지는 대체적으로 성공하고 있는듯 하다. 그러나 이 책 전반을 가로지르고 있는 '동일성'과 '차이'의 이분법은 동일성을 악으로 차이를 선으로 보는 단순한 도식을 따르고 있다. 이 책의 한계란 '동일성-공동체-악'의 한 축을 '차이-개별자-선'이라는 또다른 축으로 비판하고 있는데서 찾아질 수 있다. 물론 이런 비판자체의 도식화가 단순하다고 할 수 있겠지만, 그리고 부분적으로 이런 비판이 적용될 수 없는 부분이 있긴 하지만, 근본적인 저술의 자세는 이 간단한 도식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이 사실이다.

이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동일성과 공동체에 대한 강박관념에 사로잡혔던 우리 인문학의 편향을 반성하게 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무시할 수 없다. 뿐만아니라 근대적 주체의 형성에 대한 설명과, 근대적 가치의 표상 체계가 어떻게 내면화되는가에 대한 천착 등은 인상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