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주의 이후 당대총서 7
이매뉴얼 월러스틴 지음, 강문구 옮김 / 당대 / 1996년 8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세계 체제론'이라는 거대담론을 통해 오늘날의 세계정세를 분석하고 있는 월러스틴의 여러 글들을 묶은 것이다.

세계제제의 분석 대상은 역사적 자본주의다. 이 역사적 자본주의의 이데올로기가 바로 '자유주의'인데, 이 책에서 자유주의는 희망의 사기극이 들통난 절망의 이념으로 그려지고 있다. 자유주의의 사기극은 1968년의 신좌파의 혁명으로 쇠퇴하기 시작했고 1989년의 동구권의 몰락으로 치명적인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는 것이 월러스틴의 생각이다.

세계체제는 [중심부/반주변부/주변부]의 계서제를 이루고 있는데 잉여가치는 주변부에서 중심부 쪽으로 이동한다. '이동'이라 했지만 거칠게 말하면 그것은 '착취'라고 할 수 있다.

16세기 무렵에 시작되어 프랑스혁명을 거치면서 공고화된 세계체제는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와 복지주의를 통해 그 안정성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그 이전 서구 내부의 위험한 세력인 '노동자 계급'을 길들이기 위한 보통선거와 복지의 증진을 제계적인 차원으로 확대한 것이다. 즉, 정치적 권익의 증대와 잉여 가치의 일부에 대한 분배는 '위험한 세력'들을 기만할 수 있는 훌륭한 아이디어였던 것이다. 월러스틴은 여기다 '국가정체성'이란 요소를 추가해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와 연관해 억압체로서의 민족주의를 생각해 볼 수 있게한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윌슨의 민족자결주의는 레닌주의와 함께 세계체제의 안정성 유지에 기여하는데, 이는 미소의 대립이라는 냉전체제가 사실은 이 두 나라의 야합에 의해 유지되는 기만적 체제라는 월러스틴의 지적이다. 이런 논리는 백낙청의 분단체제의 논리적 근거가 되고 있다는데서 우리의 역사현실을 바라보는 시각을 제공해 준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외에도 보수주의/자유주의/사회주의의 자유주의적 연합의 논리에 대한 분석이라든가 반체제운동의 체제친화성 그리고 세계체제의 사회 경제적 토대를 약화시킬 요인으로 1. 탈농촌화(저임노동력의 고갈)2. 중간계층에 대한 압박(고용주와 국가에 대한 요구의 확대로 인한 비용증가)3. 생태학적 위기4. 남과 북의 인구통계상의 격차 심화(남에서 북으로의 이주민의 증가)를 들고 있는 것 등은 주목해야 할 대목들이다.

월러스틴이 분석하고 있는 세계체제는 곧 근대성에 대한 분석인바, 그는 근대성을 기술의 근대성과 해방의 근대성을 구분하면서 잘못된 근대성을 극복하고 진정한 '해방의 근대성'을 성취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월러스틴은 매 글의 끝 부분마다 새로운 시대를 개척해야 할 우리의 책임을 이야기한다. 그는 섣부른 비관도 낙관도 생각치 말고 오로지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 할 것을 촉구한다.

월러스틴의 분석이 옳으냐 그러냐를 따지기 전에 세계적인 시각으로 국제 정세를 이만큼 설명할 수 있다는데 경의를 보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월러스틴의 글은 우리들에게 실천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공허한 거대담론이라고 그냥 비판하기만 해서는 곤란 할 것이다.

조동일 선생은 월러스틴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여서 그의 논리를 전개했다. 구체적으로 어떤 대목을 말하고 있는지 궁금해 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