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ㅣ 가라타니 고진 컬렉션 11
가라타니 고진 지음, 박유하 옮김 / 민음사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가라타니 고진(박유하 옮김), 일본근대문학의 기원(민음사, 1997)
풍문으로만 듣던 그리고 부분적인 모습으로만 보았던 가라타니 고진의 <일본근대문학의 기원>을 이제야 읽어 보았다. 제목 그대로 일본 근대문학의 기원으로 거슬러 올라가 그 기원이 은폐하고 있는 기원 형성의 과정을 들춰보임으로써 그 은폐의 정치적 의도를 드러내고 있는 책이다.
첫 장인 [풍경의 발견]이란 우리가 자명한 것이라 여기는 기원의 비자명성, 즉 그것이 형성과정으로서의 역사성을 갖고 있음을 밝히기 위한 일종의 키워드라 할 수 있다. 풍경이 풍경으로 발견된 것이 메이지 20년대의 구니키다 돗포에 의해서라는 고진의 지적은 근대가 표상하는 주체의 개념을 통해 풍경을 풍경으로 객체화 할 수 있게되었음을 역설하는 것이다. 이런 주체-객체의 발명이야말로 서구 근대의 발견이며 이것이 문학속에 어떻게 자리잡는가를 밝혀내는 것이 곧 일본 근대문학의 기원을 탐사하는 것이된다. 풍경의 발견은 내면의 발견으로 이어지는데, 표현할 수 있는 내면의 발견이란 곧 근대적 자아의 발견과 맞닿아 있다. 근대적 자아로서의 내면은 선험적인 무엇이 아니라 근대적 제도에 의해 발명된 것에 불과하지만 그것이 선험적인 것으로 보이는 것은 '언문일치'라는 장치에 의한 환각작용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이때 언문일치란 단순히 말에 글을 일치시키는 것이 아니라 형상(한자)을 억압함으로써 제3의 새로운 문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설명된다.
풍견과 내면의 발견을 통한 일본 근대문학의 기원형성은 [고백이라는 제도]와 [병이라는 의미], [아동의 발견], [구성력]의 보완을 통해 보다 분명한 역사를 갖게된다. 이러한 개념들은 자원적 원인을 하나의 중심으로 환원하는 균질적인 논리를 내장하고 있다.
고진은 이러한 작업을 통해 일본 근대문학의 기원 속에 은폐된 정치적 의도를 드러내고 나쓰메 소세키를 그러한 기원을 거부한 작가로 높이 평가한다. 또 [구성력에 대하여]에서는 사소설이 중심을 갖지 않는 다원적인 것으로 보고 서구 소설의 [나]가 균질적인 것인데 반해 사소설의 [나]가 비균질적임을 들어 사소설의 가능성을 인정하고 있다.
이 작업이 니체/푸코의 계보학에 방법론적 근거를 두고 있다는 것을 통해 소위 말하는 포스트모더니즘 이론을 옹호하면서도 일본에 수입된 포스트모더니즘의 왜곡을 지적하고 있는 것을 귀담아 들어야 할 것 같다.
이 책의 방법론을 본뜬 우리 학계의 연구들이 얼마만한 이론적 성찰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지 고민해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