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일 소설 형성사 - 자본이 이상을 몰아내다 ㅣ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66
김창현 지음 / 책세상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김창현, 한일 소설 형성사 - 자본이 이상을 몰아내다, 책세상, 2002.
책세상 문고에서 나온 책으로, 얇은 문고본이다. 얇다고해서 어렵잖게 생각했는데, 이럭저럭 시간을 보내다보니 작은 문고본 하나에도 허덕이고 있는게 아닌가...
소설은 서사문학의 대표 장르로, 근대에 와서 각광을 받았다. 근대야말로 산문정신의 표출이 두드러지는 시기로, 소설의 흥행은 말할 것도 없다. 저자는 소설의 형성문제를 다루면서 조선과 일본의 근대를 비교하고 있다. 그 전제에는 일본 근대의 성공을 비판하며, 조선 근대의 실패를 변호하고 있는 저자의 목소리가 깔려있다.
근대란 무엇인가, 그 출발을 대표하는 것이 산업화와 르네상스이다. 산업화는 생산양식의 변혁과 관련된 것이므로 종속 변수가 크다. 르네상스를 '인본주의'의 부흥이라 말하지만 이것 역시 '근대'를 신성화하려는 신화만들기에 불과하다. 르네상스기의 유럽은 아직 근대가 아니었으며, 인본주의는 고래로 있어온 인간의 이상향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일본이 자신들의 근대를 합리화하고자 내새운 '근세'를 비판하고, 일본의 근대는 물질적인 측면에서 무비판적인 수용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말하고 있다. 에도시대에 거리를 칼을 들고 누비던 부시들에게 순응적 태도를 고착화한 농민들. 상인 계층으로 부를 획득했음에도 화려한 향락만을 즐긴 조닌계급의 한계 속에서 '서양베끼기'가 펼쳐졌다는 것이다. 반면 유학의 지배이데올로기가 온 국가에 체득화된 조선에서는 이처럼 무조건적인 순응이 있을 수 없었고, 논리적으로 맞는지를 검토했다는 것이다. 때문에, 서양이 아무리 신식문물을 자랑한다하여도, 문화적으로까지 그들을 동경하지는 않았다는 말이다. 때문에 일본의 소설들은 향락과 방탕이 일색인 것들이 대부분으로 흥미만을 추구한 반면, 조선의 소설들은 흥미를 추구하면서도, 유학이데올로기를 재확인 하고자 했으며 이와 더불어 논리적 검토까지 이루어졌다는 말이다.
저자는 이 글의 마지막에, 생기없고 자동적인 일본의 젊은이들보다는 무언가 살아있는 듯한 한국의 젊은이들에게 희망을 걸어보는 것이 어떻냐고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