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 증보판 리라이팅 클래식 1
고미숙 지음 / 그린비 / 200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고미숙,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그린비, 2003.

이 책에 드러나 있는 연암의 모습은 진정 유쾌하다. 저자의 시각으로 바라본 연암은 友道를 즐기며, 유머와 패러독스를 통하여 유목적 여정을 드러낸 인물이다. 언어와 세계의 불일치를 뛰어 넘기 위하여, 연암이 선택한 것은 상투성으로부터의 탈주이다. 주체의 끊임없는 변이를 추구하는 '탈주체화'의 여정을 걷고 있다.

고전비평은 저자가 내놓은 새로운 작업의 명칭이다. 비평이라는 것에 대해 잘은 알지 못하겠으나, 저자가 바라본 시각에서 텍스트를 평가하는 것만이 비평은 아닌 듯 하다. 고전이 고전으로밖에 남지 않은 이유는, 텍스트의 진부함과 텍스트속의 진리가 고정화된 것 때문이라 생각한다. 물론 텍스트의 다양한 면모를 파악한다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다. 그러나 텍스트에 의미부여의 시각을 투여하여 그 반사된 빛으로 나온 것이 그 텍스트의 것이라고 말하긴 어려울 것 같다.

고전연구자들은 저자의 저술내용을 보며, 연암을 자기식으로만 재단해놓은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한다. 텍스트의 진면목, 즉 연암의 다양한 면모와 그 녹아있는 진실을 철저히 파헤친 것이 아니라 연암의 테두리, 겉모양을 훑고 지나갔다고 비난한다. 여기에 고전의 딜레마가 있다. 철저한 고증을 통하여 텍스트를 파헤쳐놓으면 아무도 관심을 가져주지 않고, 적당한 포장과 그럴듯한 언술을 펼쳐놓으면 주목을 받지만 동시에 비난을 감수해야한다.

연암의 모습은 이 책에서 말하는 모습이 아닐 수도 있다. 아니 아닐 것이다. 저자는 자기나름의 연암을 재구성해놓은 것이다. 그게 어떻다는 건가. 땅에 곤두박질 치더라도 날개짓을 하는 새끼새를 날개짓조차 하지 않는, 아니 못하는 팽귄이 비웃을수 있을까? 이 책을 읽으며, 이건 좀...아닌데...라는 생각이 들었다면, 그럼 당신이 다시 해봐라. 그러면 될 것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