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양적 근대의 창출
히야마 히사오 지음, 정선태 옮김 / 소명출판 / 2000년 12월
평점 :
품절
동양의 근대는 흔히 서구 근대의 이식으로 이해된다. 이 책은 그러한 통념에 대한 비판을 중국의 루쉰과 일본의 소세키를 통해 전개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모방된 서양 근대를 어떻게 볼 것인가를 중심에 두고 동양의 근대화라는 과제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20쪽)
'성급하긴 하지만 대략적이나마 근대화라는 개념을 '인간 해방의 실현'이라 정의하기로 한다면, 중국에서의 이와 같은 인간 해방의 과정은 내가 말한 바 동양이라는 독자적인 공간에서 창출된 근대의 유력한 모델이라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21쪽)
'동양적 근대라는 독자적인 범주의 설정은 동양의 연대의식을 낳는 데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우리들이 메이지 문명개화 이후의 역사에서 툭하면 유일하고도 절대적인 것으로 착각해온 서양의 근대를 상대화 하는데에도 적잖이 유효할 것이라 나는 생각한다.'(21쪽)
저자는 이 같은 '동양적 근대'의 의의를 통해 자국의 전통속에서 근대를 창출하려는 노력들이 엄존했음을 루쉰과 소세키를 통해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동양적 근대의 창출에서 동북아시아 삼국 중 조선이 제외되어 있음이 의도적인 것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드러난 결과로서의 제외는 의미심장하다. 조선이 국권을 빼앗기고 식민지의 길로 나아가는 행로는 바로 동양적 근대, 아니 조선적 근대의 창출에 대한 자각이 철저하지 못했기 때문에 당연한 것이라 여길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조선적 근대의 창출이 부재 내지 미약한 연원을 철저히 되돌아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오늘날의 근대가 갖고 있는 문제를 성찰하고 근대 이후의 삶을 모색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