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린피스의 집 ㅣ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256
다케우치 마유코 그림, 오이카와 겐지 글, 김난주 옮김 / 시공주니어 / 2018년 4월
평점 :
그린피스는 개구리다. 그린피스(greenpeas) 즉 완두콩 캔이 현관문이다.
그래서인지 제목부터 동글동글 완두콩하나하나를 연결해서 만들었다. 땅속 그린피스의 집에는 많은 물건들이 있다.
사람들이 버린 쓰레기라고 통칭할 수 있겠지만 그린피스에게는 하나하나 소중한 것들이다. 동물에게도 쓰레기(나에겐 필요 없는 물건)란 개념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본인들이 소중하게 여기는 것들이 쓰레기란 걸 알면 어떨까?
어쩌면 나에겐 쓰레기지만 타인에겐 필요한 물건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이야기일까? 하루에도 몇 톤 씩 쏟아지는 온갖 생활 쓰레기들이 태평양 바다 어느 곳에 거대한 플라스틱 섬을 만들어 새들의 쉼터가 된 이명애작가의 <플라스틱 섬>이 바로 떠오른 건 알지만 모른 체하고 싶은, 관여하고 싶지 않은 불편한 진실이라서 일까?
누구나 다 알지만 어떻게 되겠지. 내가 아닌 누군가 정부? 공공단체? 비영리환경단체들이 잘 하겠지. 결국 나는 그저 조금 더 쓰레기를 줄이려고 노력하거나 기관의 방침을 잘 따르는 정도로만 이 죄책감을 무마하려는 걸까?
날카롭게 따진 캔 뚜껑의 단면에 그린피스가 다치지 않을까? 란 걱정이 그림책을 보자마자 들었던 것도, 미처 치우지 않은 위험한 물건을 들고 노는 아이를 바라보는 부모의 심정 같다. 내 잘못인 걸 알지만, 아이 탓이 아닌 걸 알면서 위험한 물건을 왜 가지고 노냐고 꾸중하며 사고가 일어나지 않음에 감사하고 다행이라고 여기는.
그린피스에게 위험한 빈 캔을 현관문으로 쓰게 한 것도 결국은 나다. 환경호르몬이 어마어마하게 나오는 폐타이어에서 편하게 목욕을 하게 만든 것도 나다.
그런데 그린피스는 행복해 보인다.
앉을 때마다 또로롱 이쁜 소리가 나는 피아노 소파.
심심할 때 마다 읽을 수 있는 많은 신문전단지 책.
체력을 길러주는 운동방에 있는 세탁소 옷걸이와 바람 빠진 비치 볼.
알록달록 너무 이쁜 각양각색의 유리병들은 소중한 보물이다.
그리고 따뜻한 털장갑은 포근한 침대가 되어주고.
그린피스는 계속계속 방을 더 만들어 방마다 온갖 물건들, 다양한 보물들을 모아두고 싶은 행복한 꿈을 꾼다. 그린피스에게 쓰레기는 쓰레기가 아니고, 인간이 버린 쓰레기를 가치 있는 다른 용도의 물건으로 사용하고, 버리는 게 수가 아님을 몸소 보여준다.
쓰레기로 가득 찰지도 모를 지구의 미래를 걱정하는 건 실은 아무 소용이 없다.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행동들. 지금도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일회용 사용하지 않기, 재활용하기 등을 하고 있다. 얼마 전에 재활용업체들이 비닐을 수거하지 않는 바람에 일주일 정도 비닐대란(대란은 너무 무서운 프레임을 안겨주는 단어다)이 일어났던 건, 시작일 뿐이다.
결국엔 인류가 멸망한 뒤엔 쓰레기로 뒤덮인 시기는 40억 살 정도의 지구에게는 아주 잠깐의 힘든(?)시기였을지도 모르지만, 현재를 살아가는 인간은 더 이상 자신들의 이기심으로 다른 종족에게 피해를 주진 않아야 한다. 넘쳐나는 쓰레기와 무분별한 개발로.
미니멀리즘. 줄이고 줄여서 딱 필요한 것들만 가지고 사는 삶이 유행이다.
안 쓰면 버리고 필요하면 또 사는 겐 아니라, 버린 이상은 불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상은 없이 살 수 있는 삶을 사는 게 미니멀리즘이라고 본다.
이가 없으면 잇몸처럼, 과소비는 흥청망청 사들이는 이들에게만 적용되지 않고 우리 대다수가 그러고 있지만 모를 뿐이다.
넘쳐나는 재화들 속에서 풍요를 지속적으로 누리는 길은, 소중하게 여기며 아껴쓰고, 오래쓰고, 나눠쓰고, 고쳐쓰고, 바꿔쓰고. 지금은 내 것이지만 언제든지 누구의 것이 될 수 있다는 마음으로 사용하면 어떨까 싶다.
그린피스의 이름을 보자마자 환경단체인 그린피스(Greenpeace) 가 떠 오른 건 작가가 대놓고 사용한 의도임을 알면서도 더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 준다는 데엔 반박할 수가 없다. 그럼 나도 그린피스처럼 살아볼까? 두 그린피스 중 어느 거라도....
이 글은 시공주니에서 제공된 도서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