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리스인 조르바 ㅣ 열린책들 세계문학 21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용기를 갈망하는 자와, 자유인이 되기를 소망하는 이는 조르바를 만나라. 그가 답을
줄것이다.
책속의
“나” 책벌레는 항구도시 피레에프스에서 주인공
조르바를 만난다.
책벌레
‘나’는 책벌레족속들과는 거리가 먼
노동자,
농부 같은 단순한
사람들과 새 생활을 해보기로 마음먹고 폐광이 된 갈탄광 한 자리를 빌린 곳으로 가는 배안에서 운명의 조르바와 대면한다.
조르바는 보통사람이
아니다.
‘내’가 오랫동안 찾아다녔으나 만날 수 없었던
살아 있는 가슴과 커다랗고 푸짐한 언어를 쏟아내는 입을 가진 사나이였고,
위대한
야성(野性)을 가진 사나이였다.
이 소설의 ‘나’는 작가 카잔차키스를 의미한다고 해도 틀리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 주인공
조르바는 실존인물인 기오르고스 조르바와 카잔차키스는 함께 탄광사업을 했다.
작가의 경험담을
소설화시킨 것이 그리스인 조르바다.
카잔차키스의 대표작이라 일컫는 이 소설은
조르바의 입과 가슴을 통하여 인간의 내면을 솔직하게 드러내면서도 천박스럽지 않다.
또한 열정적인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작가의 통찰력과 활력은 독자들을 감동시키기에 충분하다.
조르바와 ‘나’는 상반되는 성격이다.
조르바는
60대중반의 노인이지만 저돌적이며 거침이 없고
직선적이다.
반면 두목인
‘나’는 30대중반의 젊은이지만 점잖고 인류애가 투철한
도덕가요 신중한 스타일이다.
누가
매력적인가?
물론
조르바다.
여자라면 사족을 못
쓰고 온 세상의 그와 연결된 모든 여인은 다 섭렵한 것 같은 바람둥이지만 그는 매력적이다.
그러나 불륜은
아니다.
그는 복잡하지 않고
모태에서 탯줄이 끊어지지 않은 것처럼 순진하며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 자신의 삶을 마음껏 즐길 줄 알았던
사람이다.
“세상을 산다는 것은 결코 복잡한
것도,
힘든
것도,
1000년
동안 시들어 버린 꽃잎처럼 재미없이 말라비틀어진 것도 아니야.
지금 이
순간을 즐겨,
인생은
우리에게 주어진 멋진 선물이니까!”
갈탄광사업자인 나와 인부들을 감독하고
총지휘하는 조르바 인부들에게 지나친 자비를 베풀려는 두목(나)에게 공사감독인 조르바가
훈계한다.
“두목이 세게 나오면 인부들도 두목을
존경하고 일도 잘합니다.
두목이
물렁하게 나오면 인부들은 일을 몽땅 두목에게 밀어버리고 나 몰라라 한단 말입니다.
아시겠어요?
나를
봐요,
두목,
제발 좀
끼어들지 마시오.
내가 아무리
애써 놓아도 당신이 몽땅 무너뜨리고 있잖아요.
오늘
인부들에게 한 이야기,
그게
뭐요?
사회주의라고?
당신은
목자요,
자본주요?
결단을
내리쇼?”
감독과 인부의 관계,
시키는 자와 행하는
자와의 관계에 있어 무엇이 효율적인지를 가르치고 있다.
조르바의 논리와
두목의 논리가 대립된다.
인부들을 부려본
경험이 있는 조르바의 논리가 경험칙인지라 합리적으로 들린다.
적당한 거리를 두는
것은 필요하다.
그러나 조르바의
법칙이 언제나 옳다고 볼 수는 없다.
상황논리는 항상 다를
수 있으니!
오직 조르바 자신만 믿는다는
그다.
다음 조르바의
언어에서 인간내면의 솔직함과 당당함이 읽혀진다.
“아무것도 믿지
않아요,
오직
조르바만 믿지.
조르바가 딴
것들보다 나아서가 아니오.
나을
거라고는 눈곱만큼도 없어요.
조르바 역시
딴 놈들과 마찬가지로 짐승이오!
그러나 내가
조르바를 믿는 건,
내가 아는
것 중에서 아직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게 조르바뿐이기 때문이오.”
초라한 한 조각가의 삶을 안전하게 더듬거리며
살아가기 위해 하찮은 겁쟁이 인간들이 법과 윤리라는 명목으로 쳐 놓은 울타리를 과감하게 부순다는 것이 조르바의 인생철학이며 자유에 대한
신념이다.
그는 일종의
혁명가라는 생각도 든다.
기존의 것들을
거부하고 부수고 온몸으로 저항하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젊은 수도승으로
하여금 수도원에 불을 지르게 한 것은 기존 종교가 가진 위선에 대한 강력한 경고였다.
조르바는 재지 않는다.
모든 인간은 자유를
갈망한다.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에 더더욱 목마를지 모른다.
그 소망하는 자유를
만끽할 수 있는 사람 그가 조르바다.
조르바는
말한다.
인생과 맺은 계약에
시한이 없다는 걸 확신하려고 가장 위험한 경사 길에서 브레이크를 푼다고,
“인생이란 가파른 경사도 있고
내리막길도 있는 법이지요.
잘난 놈들은
모두 자기 브레이크를 씁니다.
그러나 나는
브레이크를 버린 지 오랩니다.
나는 꽈당
부딪치는 걸 두려워하지 않거든요.
기왕 갈
바에는 화끈하게 가자 이겁니다.”
카잔차키스의 이름을 세계적인 작가의 반열에
올려놓은 소설 「그리스인 조르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화(聖化)되기를 이해해야 한다.
즉 거룩하게
되기다.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육체와
영혼,
물질과 정신의
임계상태 저 너머에서 일어나는 변화,
이것이
메토이소노(성화)다.
포도주가 사랑이 되고
성체가 되는 것 이것이 바로 성화(聖化)다.
자유인이며 과감하고 거침없이 삶에 도전하고
솔직하고 정직하게 실천에 옮길 줄 아는 행동인 조르바!
용기 충만한 그가
부럽다.
조르바는 작가의
소망이다.
노벨문학상수상자인 독일의 평론가이며 소설가인
토마스 만의 작품 평을 보자.
“
부드럽고
정교하면서도 강하고 극적인 힘을 보여주는 의심할 여지없이 높은 예술적 경지에 도달한 작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