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에디톨로지 (반양장) - 창조는 편집이다
김정운 지음 / 21세기북스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21세기북스] 에디톨로지 - 김정운 : 신선한 발상에 재밌는 인문학 책 추천!

 

 

 

 

 

 

 

 

오늘 제가 소개해드릴 책은 김정운의 에디톨로지입니다.

사실 이 책을 출간되기 전 가제본 책으로 먼저 만나보게 되었어요.

꺄~~ 사실 김정운씨 팬이거든요.

<남자의 물건>으로 처음 만났던 김정운씨를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하는데요 ^^

그때 참 이렇게 글을 솔직하게 쓰는대도 사람이 미워보이지 않는 구나 하면서 그의 팬이 되었답니다.

파마 머리 휘날리며, 음악 미술, 그리고 인문학을 넘나드는 그의 신간!

 

그가 참 공들여 썼다는 에디톨로지 소개해드립니다.

 

   

 

 

  

 

에디톨로지!

먼 훗날 전 세계쩍으로 통할 수 있도록 영어로 만들었다는 ^^ 에디톨로지의 뜻은

 창조는 곧 편집이라는 뜻이라고 해요.

그저 그럴듯하게 짜깁기 하는것이 아니라, 인식의 패러다임 구성과정에 관한 설명이라고 해요.

 

저는 참 김정운이 드뎌 잘 잡아 냈구나! 하는 생각을 했어요.

어느 순간 모든 정보가 편집으로 얻어지게 되는 요즘!

정보의 홍수속에서 어떤 정보를 어떻게 편집하여 내껄로 만드느냐가 참 중요하다고 생각해왔거든요!

 

역시~~! 참 재미있는 시간 독서시간이 될것 같다는 느낌!

 

 

 

 

 

 

1부 지식과 문화의 에디톨로지

 

 

1부에서는 마우스의 발명과 하이퍼텍스트가 핵심주제라고 합니다.

마우스라는 도구의 발명이  인간의식에 어떤 변화를 주었는지 설명하고 있어요.

 

 

 

 

인간의 의식과 행동은 도구에 의해 매개된다.

 

 

 

마우스의 발명으로 클릭을 하면 전혀 다른 정보 속으로 휘말리게 되기 때문에 좀더 넓은 지식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이죠!

저도 마우스를 누르다 보면 제가 의도치 않았던 정보까지 볼때가 있는데 ^^

이 또한 제가 스스로 편집에 의해 걸려내야 하는정보들이겠죠!

 

이와 함께 인간의 의식과 행동이 도구에 의해 달라진다고도 하고 있는데요!

 

"서양인들이 동양인들보다 좀 더 공격적인 이유는

하루에 세번씩 숟가락으로 "뜨고" "드는" 행위를 반복하는 사람의 의식과

포크로 "찌르고", 나이프로 "자르는" 행위를 반복하는 사람의 의식은 근본적으로 다르다"는데서 찾고 있어요.

 

마우스와 포크와 숟가락이 미치는 인간의 의식과 행동의 편집.

참 흥미롭더라구요.

 

 

 

 

 

 

 

다음은 아이팟터치에 관한 이야기.

 

 

이 부분은 <남자의 물건>에서도 잠깐 다루었었죠.

만지로 문지르는 것을 좋아하는 인간의 본능 때문에 아이팟이 이토록 커다란 인기를 얻게 되었다는 건데요.

<남자의 물건>에서도 이 부분을 소개하면서, 남자들이 스마트폰에 중독이 되는 것이 만질 여자가 없어서(?)라고 하여

웃음을 짓게 했던 기억이 나네요 ^^

 

김정운의 사물에 대한 통찰력이 점점 깊어져 가는 것을 느끼게 해주는 부분이었어요.

그래서 김정운의 앞으로의 책들도 또 기대가 되는거구요

 

 

 

 

 

 

 

편집가능성

 

 

제가 가장 인상깊었던 것은 독일인들의 카드 정리법이었어요.

우리는 노트에 중요한 내용을 필기하는데, 독일인들은 작은 카드에 키워드를 적고,

그에 대해 조사한 내용을 카드에 적어 출처와 날짜등을 차례로 적어 알파벳순으로 정리한다고 해요.

이렇게 정리된 카드들은 필요한 정보에 따라 키워드로 찾은 후 재편집이 가능하게되죠!

우리처럼 쭉 내용을 적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보의 재편집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점!

그런 편집가능성은 어떤 이야기든지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자기 이야기를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그게 포인트!

 

참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면서,

나만의 생각, 그리고 나만의 이야기를 만드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 하는 생각을 다시한번 생각하게 되었답니다.

 

 

 

 

 

 

 

 

2부  관점과 장소의 에디톨로지.

 

 

2부는 사실 제가 가장 재미있게 읽은 부분이 아닌가 싶습니다.

원근법에  의한 관점이 권력과 어떤 상관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처음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거든요.

한번도 해본적이 없는 생각이었기 때문에 무척이나 흥미로웠어요.

 

 

 


 

 

 

서양의 그림들은 모두 시선의 소실점이 대부분 하나라고 해요.

그것은 모든 사람의 시선을 소실점으로 수렴하도록 만든 원근법의 객관성,

즉 그림을 보는 주체를 반드시 전제한다는 인식론적 생각이 들어 있는 것이라고 해요.

 

원근법의 회화에서 소실점을 화가가 맘대로 정하게 되어 있죠.

그런데 이것은 모든 관찰자에게 자신이 선택한 지점에 소실점을 맞춰야 한다고 우기는,

지극히 권력적이라고 말하고 있답니다

 

이에 반해 동양화는 이런 강박이 없다고 해요.

즉, 소실점이 아주 여러개인 경우도 많답니다.

이런 것은 문화의 차이라고 할수 있어요.

 

 

 

 

 

 

시선은 권력이다.

 

 

이 처럼 한군데로 모아지는 소실점.

그것을 가진 사람이 권력을 가진 사람이라고 하고 있어요.

읽으면읽을수록 고개가 끄덕여지네요 ^^

 

 

 

 

 

제복페티시

 

 

 

여기 제복 페티시라는 내용이 나오는데요.

이것은 정신분석학에서 말하는 페티시 즉, 인간이외의 사물에 성적흥분을 느끼는 것을 말합니다.

 

이것을 이야기 하자면 독일의 문화를 이야기 할때 빠질수 없는 프로이센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야합니다.

프로이센은 철저한 계획을 세우고 그 계획대로 정확히 실천하는 태도를 가리키는 단어인데요.

제각기 흩어져 살던 게르만 민족을 독일국민이라는 하나의 공동체로 묶어낼 필요가 있었을 때

프로이센의 가치는 하나의 독일민족을 만들어 내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해요.

19세기 메이지 시대 일본이 근대화 과정에서 가장 먼저 흉내낸 것이 바로 이 프로이센의 군사제도.

이것이 일본에 들어와 자위대로 그후에 제복으로 남아 있게 되었는데,

이 제복 페티시는 그때의 왜곡된 권력에의 총동이라고 하고 있어요.

19세기 공간편집을 위한 프로이센 군대의 제복이 지금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셈이죠 ^^

 

공간편집에 대한 예를 참 재미있게 풀어낸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3부, 마음과 심리학의 에디톨로지

 

 

마지막 3분에서는 마음과 심리학 측면에서의 편집학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특히나 이 부분에서는 아동심리학, 청소년과 노인의 정의에 대한 새로운 편집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는데요,

저는 그 중에서도 청소년에 대한 의미의 편집이 흥미로웠어요.

시대적으로 필요했던 역할을 만들기 위해 청소년을 질풍노도의 시기로 몰아,

문제아의 이미지로 만들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지금까지의 청소년에 대한 의미를 버려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답니다!

 

 


 

 

 

중간중간 보시면 저렇게 어떤 부분에 대한 김정운의 개인적인 단상을 적어 놓은 메모들이 있어요.

저는 이 부분이 참 재밌더라구요.

솔직하면서도 위트가 넘치는 그의 어조가 고스란히 담겨져 있어서

저런 부분이 언제 나오나 기다려지기까지 했답니다 ^^

 

 

 

 

 

 

천재는 사회적 필요에 의해 편집된 개념이다!

 

 

천재란 사회가 원하는 이미지로 편집된 것이라는 거에요.

특별할 것 없는 사람도 일부 단서에 의해 사회가 원하는 영웅이 된다는 거죠

 

 

 

 

그 예로 모짜르트가 나왔는데요 ^^

모짜르트가 하늘에서 속상해 했으려나요?

참 신선한 발상이 아닐 수 없네요.

 

 

 

 

 


기대했던만큼 신선하고 재미있는 책이어서 두꺼운 책임에도 불구하고 술술 읽힌 것 같아요.
책은 재미있기 읽어야 한다는 생각을 늘 갖고 있는데,
이 책은 재미뿐만 아니라, 정보의 홍수속에서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많은 정보와 흥미로운 이야기, 그리고 정보의 재편집의 중요성에 대해 알게 된 것 같아요.

또한 어찌보면 어려운 심리학을 신선한 소재를 가지고 김정운 특유의 재미있는 입담으로
어렵지 않게 접근할 수 있었지 않았나 싶습니다.
김정운의 다음책도 얼른 나왔음 좋겠네요.

이제 새로운 트렌트 에디톨로지 모르심 안되겠죠?
인문학 도서로 강력 추천할께요 ^^

꼭 읽어보세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