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을 가꾸고 있습니다 - 동물들이 찾아오고 이야기가 샘솟는 생태다양성 가득한 정원 탄생기
시몽 위로 지음, 한지우 옮김 / 김영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건, 제로웨이스트 등 많은 사람들이 자연을 생각하는 생활 방식을 실천하고 있는 요즘이다. <정원을 가꾸고 있습니다>의 저자도 마찬가지다. 지구를 기준으로 보면 작은 공간인 자신만의 정원에서 생태다양성을 보존하고 나아가 복구하려 손에 흙을 묻힌 10년간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도시에서는 꿈꿀 수 없는 널찍한 마당이 딸린 집으로 충동적으로 이사하여 시행착오를 겪으며 다양한 동식물과 공간을 공유하는 삶이 비현실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한 정원사의 성공과 실패를 읽어보는 것으로 우리는 자연과 함께 하는 삶에 작은 희망을 품을 수 있게 된다.

 

'자연은 그 혼잡함 속에서 행복해한다. 그것은 자연의 본성이고, 우리가 손을 댈 수 있는 영역이 아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모든 것을 걸레질 할 수 있어야 하고, 청결하게 유지되어야 하고, 위생적이어야 한다고 믿는다. 생명은 관상용 도자기가 아니다. 생명은 더럽다. ... 자연은 공허를 혐오한다. 나도 그렇다(91쪽).'

저자가 정원을 가꾸는 방식은 자연이 남기는 흔적은 허용하고 인간이 만들어내는 쓰레기는 최대한 줄이는 것이다. 과일껍질을 퇴비로 사용하고, 이웃들이 버리는 낙엽을 재활용하는 등 인위적인 것을 멀리한다. 그렇게 저자가 깨달은 생명의 원리는 간단하다. 기본적인 틀만 제공해도 자연은 충분히 되살아나며 공허를 채워가는 것이 자연의 본성이다. 저자 개인의 마당에서 10년만에 실현된 생태다양성을 보고 있자면 국가적 차원, 나아가 세계적 차원의 노력이 이룰 수 있는 자연과의 진정한 공존을 기대하게 된다. 

 

'생명과 다양성을 창조하고 싶다고 해서 신이나 부자나 학자가 될 필요는 없다. 사실, 그저 손에 흙을 조금 묻히기만 하면 되는 일이다(116쪽).'

정원을 가꾸면 자연스럽게 많은 동물과 곤충들과 공간을 함께 쓰게 된다. 그러한 과정을 도감처럼 그리고 기록했다. 자연의 '금속공예' 같은 곤충에 경이를 느끼고 그려낸 저자 덕분에 그저 '벌레'로 인식했던 많은 곤충의 이름을 처음으로 자세히 살펴보고 자연이 만들어낸 아름다운 색을 감상할 수 있었다. 이 책의 저자는 전문 원예사나 곤충학자 등이 아니다. 그저 '지구 위 작은 한 구석에서 삶은 괜찮게 굴러간다'고 믿는 한 사람일 뿐이다. <정원을 가꾸고 있습니다.>는 이런 믿음으로 지구 한 구석을 푸르게 만드는 저자의 생활을 따뜻한 그림으로 기록한 책이다.

 

지구가 천천히 뜨거워졌으면 하는 마음으로 이것저것 실천해보려는 요즘, 지구 어딘가에서 자신만의 정원을 가꾸며 자연이 공허를 채워가도록 돕는 저자의 그림과 글은 즐거운 간접경험이었다.

 

* 이 서평은 김영사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김영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