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 없는 육식의 탄생
체이스 퍼디 지음, 윤동준 옮김 / 김영사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들어 육식이 야기하는 환경 문제와, 동물권 문제 등에 문제의식이 생겨 책도 찾아보고 소소하게나마 육식 지양 식단을 실천하고 있었는데 ‘세포배양육’이란 개념은 이 책을 통해 처음 접했다. 동물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방식으로 동물의 세포를 체취하고 이를 배양하여 고기를 만든다는 것은 완전히 새로운 개념이었다. 2020년 12월에서야 싱가포르에서 첫 판매 허가를 받았다니 아마 이 책을 읽지 않았다면 먼 미래에 직접 보기 전까지는 몰랐지 않았을까 싶다.


얼핏 보면 세포배양육 관련 문제와 기술만을 다루는 과학서 같지만 현재 실리콘밸리에서 가장 성공적인 푸드테크 스타트업 ‘저스트’의 리더 조시 테트릭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대화체가 많아 읽기도 편했다.) 테트릭 뿐만 아니라 다양한 비건 활동가들의 활동과 회사 경영기 등 사건 중심의 전개가 의외였다. 기업형 동물농장 시스템의 해악을 인식하고 동물을 위하는 자본주의를 지향하는 이들의 신념과 행동력이 참 멋지다.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배양육은 육식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뿐만 아니라 도살한 고기에서 발견되는 많은 미생물을 피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이 있다.


가장 의외였던 점은 배양육의 시장 진출을 가로막는 것이 기술의 부족함이라기보다 국제적인 규제, 정부의 규제라는 점이다. 많은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어쩔 수 없이 자본주의와의 싸움이 된다. 하지만 이 행성에서 살아가야 하는 인류의 삶을 장기적으로 생각했을 때 비건 기업에게 어느정도 파이를 내주는 것은 당위적인 일이라 생각된다.


전반적으로 ‘고기란 무엇일까’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는 책이었다. 바나나든 고기든 감자든 결국 세포 덩어리이고, 세포배양육의 장점을 생각한다면 미래에는 도살한 고기를 고집해야 할 이유가 더욱 줄어들 것이다. 환경, 식량안보, 동물권 등의 수많은 문제는 이제는 인류가 50만 년 넘게 먹어온 고기에 대해 돌아볼 계기를 충분히 제공한다. 개인적으로 고기를 소스나 양념 맛으로 먹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하는 요즘이었는데 세포배양육은 이런 점에서도 충분히 인류에게 대체제를 제공할 수 있을 것 같다. 오히려 대체제가 아닌 하나의 선택지가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기후변화와 갈수록 커지는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 항생제에 대한 반감과 지구촌 기아 문제를 마주한 지금, 어쩌면 아주 작은 세포를 이용해 축산업의 지형을 바꾸는 큰 도약일지도 몰랐다.

-발효 작용이 치즈나 요구르트, 맥주를 만들 수 있는 문을 열었듯, 세포배양이 새로운 형태의 식품을 생산하는 관문이 될 것이라고.

-이제 주방 바깥의 농업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 책임감 있고 양심적인 식품 소비자가 되는 일은 기후위기의 원인인 인간의 역할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이 서평은 김영사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김영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