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이라는 중독
저드슨 브루어 지음, 김태훈 옮김 / 김영사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신과 의사이자 신경과학자이자 베스트 셀러 작가인 저드슨 브루어가 저술한 '나쁜 습관 고리 부수기'에 대한 아주 친절한 책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불안' 자체에 중독된 사람들이 있다. 책을 읽으면서 알게된 것인데, 나도 불안해하는 행위 자체를 통해 일종의 안심을 하는 때가 종종 있는 것 같다. 불안 뿐 아니라 폭식, 알코올, 흡연 등 현대인들이 통제해야 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하지 못하는 나쁜 습관 고리를 분석하고 이를 끊을 수 있게 도와주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최근 많은 현대인들의 관심사인 '마음챙김(mindfulness)'에 대해서도 감을 잡을 수 있는 책이기도 하다.

 

책을 끝까지 읽고 습관 고리를 깨기 어려워 하는 사람들을 진정으로 도와주고자 하는 저자의 마음과 실제로 수 년간 그런 일을 열렬히 해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심리학과 뇌과학 등을 다루기 때문에 단번에 이해하기 쉬운 내용이 아닐 수 있지만 친절한 설명과 적절한 비유 때문에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었다. 

 

나쁜 습관을 버리고 좋은 습관을 들이기 위해서는 '의지력'이라는 해결책을 들먹이기 쉽다. 하지만 이 책은 의지력에 기대지 않는다. 저자가 고안해낸 총 3단계의 방법으로 아주 점진적이고 다정하게 습관 고리를 풀어낸다. 우선은 우리의 마음과 뇌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부터 설명한다. 나의 경우에 해당된다고 생각했던 사례를 언급하자면, 불확싱성을 지닌 대상이나 시기를 골라 분명한 형태가 없다는 이유만으로 불안의 시동을 거는 때가 있다. 이럴 땐 그 불안이 무가치하다는 것을 '의식'하는 것에서 습관 고리 풀기를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불안을 느낄 때와 불안이 무가치하다는 것을 깨달을 때 내가 어떤 기분인지, 불안이란 무엇인지 등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는 것만으로도 습관 고리를 절반 쯤 푼 것이다. (나머지 방법은 책을 통해 확인하길 바란다.) 이처럼 저자는 의식, 호기심, 자애 등과 같은 어렵지 않은 정신적 기술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전한다. 이러한 능력들을 우리의 '타고난 초능력'이라고 표현할 만큼 놀라운 결과를 함께 제시하기도 한다. 

 

현대사회가 주는 기술적 편리함과 펜데믹이라는 특수한 상황이 불안에 박차를 가하는 지금, 잠시 멈추어 나의 나쁜 습관 고리를 의식하고 '호기심'이라는 타고난 초능력으로 이를 푸는 방법을 알게 된 뜻 깊은 독서였다.

 

나는 '질환'이 생긴 마음, 두뇌를 약간 조율이 안 된 바이올린 줄에 가까운 것으로 생각한다. 이런 바이올린이 망가졌다고 내버리는 사람은 없다. 우리는 어느 부분이 잘못되었는지 들어보고 계속 연주할 수 있도록 줄을 약간 조인다(또는 푼다). -23쪽

결국, 뇌는해결책이라는 잭팟을 터트리기를 바라며 걱정이라는 슬롯머신의 레버를 계속 당긴다. -66쪽

마음챙김은 우리 자신에게서 어떤 것을 멈추거나, 비우거나, 제거하는 것이 아니다. 생각, 감정, 육체적 감각은 우리를 인간으로 만드는 것이다. -122쪽

 

*이 서평은 김영사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김영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