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 조선 - 우리가 몰랐던 조선의 질병과 의료, 명의 이야기
박영규 지음 / 김영사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질병과 의학에 관련된 조선 이야기를 의료시설, 10대 질병, 왕과 질병, 명의, 의학서 총 5개의 주제로 들려주는 흥미로운 역사서다. 이렇게 특정 테마가 있는 역사서는 많지만 질병과 의료에 집중한 만큼 쉽게 접할 수 있는 왕과 조정에 대한 이야기 뿐만 아니라 일반 백성들의 생활을 면밀히 들여다 볼 수 있는 기회였다. 역사 지식이 없어도, 역사에 큰 관심이 없어도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물론 평소 역사에 관심이 많다면 더 흥미롭게 다가올 것이다. 우리의 예상보다 질병이 역사에 끼친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책이 다루는 내용 자체도 흥미롭지만 이렇게 수백년이 지난 후대에 책을 낼 수 있을 만큼 자세하게 기록을 남겨 두었다는 것이 경이롭게 느껴지기도 했다. 늘 조선왕조실록의 상세함과 방대함에 놀라곤 하지만 이 책은 왕조실록 뿐만 아니라 갖가지 의학서들에 감탄하게 해준다. 물론 현대의 의학지식이나 근대적인 사고방식을 통해 보면 웃음이 나오는 진단이나 치료법이 종종 있지만 그만큼 조선인들이 질병과 의료에 많은 관심을 쏟았다는 증거 같기도 하다. 무엇보다 동양의 의학은 사람의 몸이나 질병을 바라보는 관점과 접근방식부터 서양의학과 다르기 때문에 지루하지 않게 질병에 대해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인상 깊었던 점은 심열증으로 진단되는 마음의 병, 즉 정신 질환이 일종의 병으로 인식되고 기록되었다는 점이다. 책의 대부분이 육체적 질병에 대한 기록이지만 3장 <조선 왕들의 질병과 죽음>을 통해  마음의 병을 앓았던 조선의 국왕들을 알 수 있었다. 또 종기로 승하한 왕이 많다는 것은 들어본 적 있지만, 기록으로 확인하니 최고의 의료환경에 있었을 왕조차도 종기 하나에 운명을 달리했다는 사실에 새삼 인간이 굉장히 약한 존재라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껏 대장금, 허준 정도의 의원들만 미디어에서 주로 다뤄졌지만 조선에는 그들만큼 훌륭한 의관들이 많았다. 승진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왕과 백성의 건강을 위하는 마음으로 기술을 닦고 의학서를 편찬한 그들의 고금을 초월하는 직업정신에 존경을 표하고 싶다.  
  
* 이 서평은 김영사 대학생 서포터즈의 일환으로 김영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