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자
울리히 알렉산더 보슈비츠 지음, 전은경 옮김 / 비채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유대인 박해가 본격화되기 시작하는 독일을 배경으로 하는 울리히 알렉산더 보슈비츠의 <여행자>는 독일의 비극적 역사를 기록한 초기 문학적 증거가 되는 일종의 고발문학이다. 발행인 후기를 보니 저자의 자전적 경험도 담겨있는 듯 해 더 마음이 아픈 소설이다.

유대인인 것이 외적으로 티가 나지 않는 오토 질버만을 주인공으로 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그 외모 덕에 다른 유대인들처럼 쉽게 체포되지 않고 독일 곳곳으로 도망다니지만, 잠재적 위협을 피하는 도주는 잠조차 편하게 자지 못할 정도로 모든 것을 의심하고 간단한 결정조차 쉽게 하지 못하게 만든다. 그를 쫓아오는 물리적 실체가 없기에 그는 자신을 '끝 없이 계속 움직이는 여행자'라고 생각하려 하지만 거대한 제국을 상대로 한 절망적인 도주일 뿐이다.

이전까지 안정적인 생활을 하던 부유한 사업가 질버만은 하루아침에 도망자 신세가 되고 독일 철도를 떠돌아 다니며 많은 당원들과 유대인을 만난다. 이 과정에서 질버만은 그에게 아무렇지 않게 유대인에 대한 차별적인 발언을 하는 사람들을 만나기도 하고, 유대인처럼 보이는 당원을 만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과 질버만의 외모는 외모로 유대인을 색출하고 체포하는 것이 얼마나 무의미하고 자의적인지 보여준다. 때로는 질버만조차도 유대인 혐오를 내재화하는 것을 통해 사회 전체가 가하는 혐오가 가지는 폭력성을 잘 드러낸다. 

지금까지 안락한 삶을 살아왔던 질버만을 주인공으로 설정해 드라마틱한 탈출기가 메인이 되는 소설은 아니지만, 이런 방식의 도주 또한 당시 유대인의 처지를 현실적으로 보여주는 듯하다. 사실 기차를 타고 여행을 다니는 부분보다 서류 가방을 분실한 후 파출소에 신고하러 갔을 때의 상황이 질버만의 처지를 더욱 잘 보여준다. 공권력을 무기로 힘 없는 개인을, 특히 박해 당하는 유대인을 무너뜨리는 것은 정말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보였다. 

책이 얇지는 않지만, 한 챕터씩 몰입해서 읽다보니 생각보다 금방 읽을 수 있었다. 가끔씩 이런 문학적 증거를 통해 아픈 역사를 재기억하고 현재의 우리를 돌아보는 것이 우리가 독서를 통해 할 수 있는 일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나는 체포되지 않았고, 재산 일부도 건졌어. 그런데도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다. 사실상 이미 체포된 거야. 유대인에게는 제국 전체가 넓은 강제수용소에 불과해. (P134)

이건 단순한 도주가 아니라, 절망과의 경쟁이니까. (P186)

모든 게 달라졌어. 마음의 안정을 잃어버렸고, 삶은 어떻게 해볼 수 없는 우연들로만 이루어져 있다. 주체에서 객체가 된 것 같아. (P287)

 

* 이 서평은 김영사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김영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