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미술관 - 풍속화와 궁중기록화로 만나는 문화 절정기 조선의 특별한 순간들
탁현규 지음 / 블랙피쉬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30219 #잡문록 #조선미술관 #탁현규


탁현규 선생님의 신작 『조선미술관』 (블랙피쉬)은 ‘조선 풍경’이라는 관점에서 조선의 회화를 돌아보고 있습니다. 김홍도, 김득신, 신윤복, 신한평, 정선 등 쟁쟁한 화가들이 담아냈던 조선 사람, 조선 풍경, 조선 풍습을 복원하는 데 주력하고 있죠. 그런데 ‘조선의 것’이라는, 어쩌면 지금은 낡아 보이기까지 하는 그 담론은 당대에 지식인들의 가슴을 뜨겁게 뛰게 한 설렘의 가치였습니다.


17~18세기 조선을 뒤흔들었던 하나의 시대정신은 ‘법고창신(法古刱新)’입니다. 그러한 담론이 뜨거웠던 파트 중 하나가 문장론인데요. 이전까지 적잖은 조선의 지식인들은 고문(古文) 이라 하여, 당나라의 문장과 한나라의 시에서 쓰인 표현을 그대로 가져다 썼습니다. 이를테면, 한시를 쓸 때 수도를 가리켜 한양이 아니라 낙양(洛陽)이라 쓰고, 재상의 벼슬을 가리켜 영의정·좌의정이 아니라 삼공(三公)이라 썼습니다. 그것은 그때의 표현법이 최고의 경지이며, 나아가 유학이 지향해야 할 정신적 가치를 잘 머금고 있다는 평가에서 비롯된 유행이었죠.


법고창신은 이러한 사조에 의문을 던집니다. 한양의 풍경을 보고 시를 쓰면 한양이라고 적어야지, 왜 낙양이라고 쓰냐는 거죠. 이러한 의문은 지식인들에게 빠르게 퍼져 나가, 조선의 사람과 조선의 풍경을 조선의 말로 표현하는 사조를 형성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것은 문장이 아니라 그림에도 적용됐습니다. 이른바,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입니다.


그런데 사실, 법고창신론은 ‘완전한 창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법고창신론의 대표 주자인 박지원은, ‘창신하여 비루해지느니 때로는 법고하여 고루해지는 게 낫겟다’라는 말도 했죠. 그것은 새로운 표현법을 쓰되, 유학의 이념과 지향점에서 벗어난 글을 써서는 안 된다는 말이기도 했습니다. 그것은 회화에서도 적용됩니다.


진경산수화로 유명한 겸재 정선은 이전 시대의 화가들에 비하면 분명히 조선의 풍광을 화폭에 담았습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옛 그림에 쓰였던 표현법을 적용하여, 사물을 왜곡해서 그리기도 했죠. 이를테면 박연폭포를 실제보다 세 배쯤 늘려서 그린 것처럼요. 그것은 이전 시대의 작품들이 단순한 그림이 아니라, 삶의 정신과 이상적 사회상을 담아내는 수단이었기 때문입니다. 폭포는 단순히 폭포가 아니라, 사대부에게 특정한 정신적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확실한 소재였습니다. 그래서 조금 더 이상에 가까운 폭포의 모습으로 담아내고자 한 거죠.


그런데 정신적 감흥이 김 씨에서부터 최 씨까지 모두 다 똑같을 수 없습니다. 그러한 다양성이야말로 새로운 사조의 창조로 이어지기 마련이죠. 17~18세기에 불었던 ‘조선의 표현, 조선의 그림’이라는 담론은 다양성에 대한 본능적인 요구였고, 그에 따라 이전 시대에는 다뤄지지 않았던 대상이 화폭에 안착합니다. 탁현규 선생님은 그 대상들을 정밀하지만 간결하게 추적해 나가며, 독자의 정신적 감흥을 한 장 한 장 유도하고 있습니다.


이 책의 백미는 그림 이면의 장면을 상상하는 저자의 추론입니다. 신한평의 <자모육아도>에서는 그림에 등장한 세 사람의 표정에서 기쁨, 슬픔, 분노를 읽어내면서 나아가 등장인물들의 관계와 심리 상태를 추적합니다. 신윤복의 <홍루대주도>에서도 좀처럼 짐작하기 힘든 사람들의 관계와 신분, 나아가 행동의 목적까지도 읽어내죠. 이렇듯 저자는 인물의 몸짓과 표정, 전체의 구도, 사물의 유무, 시대와 상황을 추측할 수 있는 단서 등을 종합하여, 우리에겐 낯선 조선의 풍경을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사극의 한 풍경으로 탈바꿈합니다.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미술사가의 작업에도 충실합니다. 여러 사료를 종합하고 비교 분석하여 그림에 담긴 역사적 사실의 조각을 맞춰나가죠. 


결과적으로 저자는 하나의 그림에서 드라마 대본을 재구성하고 있습니다. 즉, 한 컷의 미장센으로부터 영화 전체를 읽어내는 영화평론가처럼 작품을 해설하죠. 저자가 시도한 사실에 기초한 분석과 상상에 의거한 해석은 이 역시 법고창신의 한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 가지 더 칭찬하고 싶은 점은 책의 편집입니다. 책의 몇 페이지를 넘기자, 일관되게 사진을 책 중앙의 접합 부분에 걸치게끔 삽입한 것을 보고 다소 당황했습니다. 게다가 작품의 하이라이트 부분이 꼭 접합 부분에 걸쳐, 제대로 볼 수 없었죠. 의문은 곧 풀렸습니다. 편집부는 접합 부분 때문에 잘 보이지 않는 하이라이트 부분을 따로 떼어내어, 다음 페이지에 더 잘 보이도록 삽입했습니다. 독자에게 부분과 전체를 하나하나 보여주고 싶었던 저자와 편집부의 고민이 보이는 지점이었습니다.


책은 읽기에 부담 없는 양입니다. 그렇다고 내용이 가벼운 것은 아닙니다. 저자의 다채롭고 자유로운 해석 끝에는 ‘조선의 그림을 통해 한국인의 정신을 읽어낸다’라는 주제가 기다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조선인의 정신과 한국인의 정신은 다른 만큼 같고, 같은 만큼 다르죠. 많은 분이 이 책을 통해 그림 안에 담긴 삶의 역사를 추적해 나가보시기를 권합니다.


더불어, 개인적으로도 ‘쓸모 있는 책’을 만났습니다. 앞으로 저 또한 역사 교양서를 쓸 때 이 책에서 제시하는 설명과 도판을 활용할 일이 자주 있을 듯합니다. 풀컬러 조선미술사 책을 펴낸 저자와 편집부의 치열한 고민과 용기에 감사를 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