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등은 없다 - 문제는 불평등이 아니라 빈곤이다
해리 G. 프랭크퍼트 지음, 안규남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19년 4월
평점 :
품절


도덕적 이상으로서의 경제적 평등
평등과 존중

프린스턴대학교 철학과 멍예교수인 저자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도덕 철학자로 자유의지와 도덕적 책임에 관한 연구 및 데카르트의 이성주의에 대한 탁월한 해석으로 유명하다

도덕적 이상으로서의 경제적 평등인 1장에서 경제적 평등주의 비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경제적 평등은 도덕적으로 그다지 중요하지 않고, 그보다는 충분한 소유를 보장하는 것에 도덕적, 정치적 초점을 맞추는 편이 더 낫다는 것이 1장의 결론이다

사람들은 대개 상황에 따라 자신의 의도와 욕망을 조절한다. 좌절이나 갈등을 피하는데 관심이 많거나  의기소침해 있는 사람은 아주 작은 것에 만족하게 될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어떤사람이 그저 불평하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그 사람의 삶이 진정으로 만족스럽다거나 그 사람이 자기 삶에 만족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할 수 없다. 다른 한편으로 어떤 사람이 자신의 상황에 따라 의도와 욕망을 조정했다고 해서 그것이 뭔가 잘못 되었다는 증거라고 볼 수도 없다.

윗글을 읽어보면 호흡이 매우 길다. 번역에 충실했지만 메시지를 전달하는 부분에 대한 간결한 풀이가 선행되지 않아 책을 접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의역도 필요한데.
번역서이자 철학자가 번역한 책은 대중에게 다가오는 그 벽이 다소 높기 때문이다. 경제적 평등은 여유로운 상대적 의미를 허용하는 상태가 적절하다는 것을 주장하고 싶었나보다.

2장 평등과 존중에서는 경제적 평등이 진정으로 도덕적 의미를 가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어떻게?

진정한 꿈은 타인들의 생활조건이 명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삶의 특징에서 나온다고 한다. 평등은 중요한 도덕적 이상으로 근본적 가치를 갖고 있다는 것을 부정한다.

다른 이 각자는 이유있는 불평등을 지닐 수 있다는 차별이 경제적 평등일 수 있다는 주장이다.

철학적 정리가 된 내용이라 주관적 해석으로 책을 접하였다.

위험한 행위일 수도 있으나 접할 때마다 다가오는 의미의 해석은 시시때때로 달리 변하고 적용될 수 있다.

본 서는 경제적 평등에 대한 공정성과 도덕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현실적으로 금수저나 태생적인 경제적 불평등이 대세인 시대상 경제적 병등에 의해 부의 재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다면
이는 마땅히 이루어져야하고 공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까라는 철학적인 의문을 던져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