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는 대로 말하는 대로 크는 아이 - 아이를 인생의 주인공으로 키우는 엄마 사용 설명서
허선화 지음 / 소울하우스 / 2017년 1월
평점 :
절판


아이를 키우면서 아이 웃음을 보고있으면 행복할 때도 있지만 밥을 잘 안먹어서 또는 계속 되는 칭얼거림에 지치고 힘들때가 있다
그럴때마다 엄하게 해야하는지 부드럽게 말을 해야하는지 혼돈이와서 실수를 하곤 한다
이러한 생활 속 실수들 속에서 지쳐있을때 육아책을 읽으면 우리아이가 행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자 ! 라고 다시한번 육아 방향을 마음속으로 되새겨 보게 되는것 같다

이책을 읽는 순간 아이에게 질문을 하고 싶어졌다. `아이야 너는 지금 행복하니?`라고 질문 했을 때 나의 아이는 뭐라고 대답을 할까? 앞으로 우리 아이가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은 엄마가 아이를 믿고 있는 그대로 모습을 사랑하며 사랑받고 있는걸 느끼게 해주는 것 인것 같다 아이가 사랑받는다고 느끼고 좋은 부모가 될 수 있는 방법은 뭐가 있을까 ? 이 책에서는 부모가 아이를 대하는 행동들에서 따끔한 일침을 가했다
아이들은 엄마라는 거울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확인 하기 때문에 엄마는 좋은 거울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아이가 문제가 있다고 걱정하고 잔소리 하지 말고 사랑받아 마땅할 아이라고 인식을 바꾸자 문제의 상황일수록 스스로 터득하고 깨닫고 극복할 것이라고 믿자. 이런 것 들이 당연한 일인데 부모의 욕심이 자꾸만 생겨 실천하는것은 말처럼 쉽지는 않은 것 같다. 그래도 앞으로도 계속 아이가 자신은 괜찮은 존재라는 인식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애정 가득한 별명도 만들어 주고 질문과 공감으로 이뤄진 대활를 많이 해나가야겠다 대화를 할때 부모의 말이 가진 힘은 대단 하다 어떤 말을 하느냐가 아이에게 영향력이 크다
아이와의 대화시 편가, 비판, 명령이 들어간 말은 부정적인 면을 부각 시킬 수 있어 관찰, 느낌, 요구, 부탁이 들어간 비폭력 언어를 사용하자
그런데 칭찬에도 독이 되는 칭찬이 있었다.  "우리아이는 너무 착해" 이런 칭찬은
내가 착하지 않으면 난 사랑받지 못해 라는 부담을 느끼고 감정표현을 못하는 착한아이 신드롬이 생겨 버릴 수 있다는 것이다. 결과보단 아이가 기울인 노력과 과정에 대해 칭찬을 해주자
그리고 나의 아이가 어느정도 성장하여 사춘기가 되면 학업에 밀려 가족간의 소통이 단절 될수 있다. 여러가지 소통 방법 중에서 하고싶은 이야기를 책으로 전달하는것 같이 공감하고 직접 느끼는것이 정말 중요 한 것 같다
나의 학창 시절을 돌이켜보면 부모님의 높은 학구열에 비해 나는 왜 공부를 해야하는지 꿈이 없었던것같다 나의 아이는 많은 꿈을 꿀 수 있도록 성장 과정에서 지속적이 이야기를 나눠 공감하고 스스로 꿈을 만들어같수 있도록 도와야겠다
마지막으로 부모 역시 자기 인생의 주인공 이여야 한다고 한다
아이는 부모를 보고 배운다 공부를 말로만 강요하지말고 공부하는 모습을 보여주자 . 그리고 나부터 새로운 꿈을 가지고 살아가자 그렇게 하루하루를 노력하며 살아가는 모습을 본다면 아이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것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