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돈 교육은 처음이지? - 모으기, 쓰기, 나누기 용돈 교육의 비밀
고경애 지음, 최선율 그림 / 한국경제신문i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가 자라면서 한번쯤은 용돈 교육에 대해서 걱정 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 집에서도 저금통을 만들어 놓고 어른들을 만나고 받은 돈을 저금해 두었었다

그것을 은행에 같이 가서 통장에 입금해보니 자기 돈이라는 인식은 생겼지만 동생용돈도 자기 통장에 넣고 싶고 욕심이 많이 생겼었다. 그래서 앞으로 이것을 어떻게 교육해야할지 걱정이 되 어 이 책을 접하게 되었다.

용돈 교육은 경제 떡잎을 만드는 과정으로 써 교육에 앞서 아이가 무엇에 관심이 있고 무엇을 좋아하고 무엇을 잘하는지 관찰하고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말아야 하는 부모의 태도가 중요하다고 한다. 나 역시도 부모교육을 받을 때 마다 반성을 하면서도 집에 돌아오면 다시 아이를 혼내게 되었다. 아이가 어떤 생각을 하는지 무엇에 관심이 있는지 잘 관찰해야겠다고 다시 한 번 느꼈다.

요즘 디지털 화폐의 시대이긴 하지만 실물화폐로 교육해야 실물경제를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 나의 생각에도 아이와 같이 저금통 만들고 용돈 기입 또는 예금은 아이가 직접해야한다고 생각한다.

저금통은 모으기 , 쓰기, 나누기 쪼개서 만들어야 하는데 모으기는 성인이 되었을 때 등록금, 여행 자금, 결혼 자금 등을 목표로 모으고 쓰기는 지금 사고 싶은 것과 목적 자금을 모아 사고 싶은 것을 사는 용도이다. 장난감, 간식등 쓰기는 좀 더 구체적으로 목표설정을 하며 나누기는 저금통에 모아두었다가 친구 선물, 부모님 선물, 이웃돕기에 사용한다.

용돈교육을 시작할 좋은 시기는 명절 때 그리고 초등시기 라고 한다. 아이가 숫자를 알고 덧셈 뺄셈이 가능하다면 바로 시작해도 좋을 것 같다.

모든 교육은 습관화가 제일 중요하듯이 용돈 관리를 습관화시키기 위해 좋은 방법으로는 아이가 모은 돈으로 하고 싶은 것을 해보고 사고 싶은 것을 사보거나 프리마케, 홈 알바로 돈을 벌어보는 경험이 중요하다고 한다. 집에서는 미션완료 보상을 주거나 집안일을 통한 알바로 인해 용돈을 버는 것 도 좋은 것 같다. 하지만 자기가 해야 할 역할에는 보상을 하면 안 된다고 하고 목표를 위한 부모의 꾸준한 동기부여를 해주는 것 도 중요하다.

용돈교육의 효과로는 근면성실함을 기르고 올바른 소비습관, 합리적인 경제적 사고, 경제적 자립심, 감사할 줄 알고 나누는 아이가 된다고 한다.

감사하는 마음과 나눌 줄 아는 아이로 성장한다면 우리아이는 행복한 부자가 될 것이라 상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