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 나쁜 버릇 고치기 5·3·3의 기적 - 화내지 않고 혼내지 않고
장성욱 지음 / 행복에너지 / 2019년 3월
평점 :
품절



작았던 아이가 자기 주관을 갖고 말을 제법 할 줄 나이가 되면서부터 엄마의 말을 듣지 않고 떼를 쓰고 통제가 되지 않기 시작하면서부터 어떻게 훈육을 잘 할 수 있을까 생각해 왔다 이번에 이 책을 읽고 나서는 나의 많은 행동들부터 개선해 나가야겠다고 느꼈다.

먼저 어떻게 혼내지 않고 나쁜 버릇을 고칠 수 있을까? 여기서 제시한 방법 첫 번째로는 내가 먼저 아이의 편이 되어주자. 아이가 엄마가 화를 내어도 엄마는 내 편이라고 생각할 수 있도록 아이의 편에서 생각하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해주자. 그 방법으로 1단계 5분 특별 놀이 2단계 나쁜 버릇 고치기(3초 타임아웃)이 있었다.

 

처음에 5분 놀이라는 것을 읽었을 때 5분은 너무 짧지 않나 5분으로 아이가 바뀔까 생각했었는데 읽어 나갈수록 5분 특별 놀이는 생각처럼 간단한 놀이가 아니었다. 이제까지 아이와 놀아주던 나의 모습들이 잘 못된 행동이었다고 느껴졌다.

5분 특별 놀이의 방법은 아이가 놀이의 주인공이 되게 하는 것이다. 놀이를 통해서 아이가 '엄마는 내 편이야 나를 사랑해'라고 느껴야 한다. 놀이를 자기 주도형으로 할 수 있도록 부모가 개입하지 않고 아이가 원하는 대로 놀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때 부모가 아이에게 해야 하는 것도 하지 말아야 하는 행동들이 있는데 이것 들이 잘 지켜진다면 아이와의 특별 놀이를 통해서 긍정적 상호작용을 올바르게 만들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먼저 해야 하는 기술 5가지로는 행동 중계하기, 구체적으로 칭찬하기, 따라 하기, 공감하기, 격려하기가 있다.

그리고 하면 안 되는 기술 3가지로는 명령하지 않기로 놀이의 주도권이 아이에게 있음을 느끼게 해주기. 명령으로 느껴지는 질문하지 않기 "하늘이 주황색이니?" "이게 별이니"라는 말은 아이의 생각이 아닌 엄마의 답에 맞게 행동을 제한하게 된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부정적인 말이나 행동하지 않기이다. 명령에 사용되는 말은 수치심이나 억울함, 분노 같은 감정을 일으키고 타임아웃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좋은 명령, 쉬운 지시를 해야 한다. 부정적 명령은 아이들이 잔소리라고 생각하고 귀를 닫아버리고 무시를 해버리기 때문이다. 그래서 부모는 부정적 상황에서 감정을 빼고 이성적으로 반응을 하는 것을 노력해야 한다.

이렇게 특별 놀이를 5분씩 2~3 주 실행하고 나서 명령을 하고 3초를 세고 난 후 부정적 행동이 바뀌지 않는다면 타임아웃을 외친 후 개선이 되지 않으면 3분 동안 분리시켜 생각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부분에서 중요한 것은 부모가 만든 규칙이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타임아웃을 하기 전에 미리 알려줘야 한다. 타임아웃은 부정적 행동 후에 바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행동수정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이전까지는 나름 숫자를 세면서 아이의 행동을 개선시키려고 시도해봤었지만 숫자를 세고도 다시 아이를 밥을 먹게 하겠다고 갖은 사탕발림의 말을 했다가 겁도 줘보고 했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런 일관되지 않는 엄마의 행동을 보고 아이가 엄마는 결국엔 그 행동을 하지 못할꺼야 엄마가 다른 보상을 이야기 하겠다는걸 아이들은 이미 다 알고있었던거라 생각된다. 이제는 꾸준히 5분 특별놀이를 아이와 함께 하며 사랑을 주고 부정적 행동에서는 일관성 있게 3초 타임아웃을 실행해 보고 아이의 행동이 개선될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