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홍은주 옮김 / 문학동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고 세 가지 단상이 떠올랐다. 우선 소년의 소녀에 대한 지극한 사랑이다. 황순원의 소나기도 오버랩되며 안타깝고 먹먹했다. 소년과 소녀의 사랑은 너무나 짧기에 너무나 강렬하다. 우리가 사랑하는 누군가를 더 이상 보지 못한다면 어떤 마음이 들까? 우리는 언제까지 그를 마음속에 간직할 수 있을까? 소년은 소녀를 찾아 다른 세계로 옮겨가 자신을 알아보지 못하는 소녀와 만난다. 과연 그것도 어떤 의미가 있을까? 나를 알아보지 못하는 연인을 만나기 위해 현실의 모든 걸 버린다는 것도 진정한 사랑일까?
둘째 그림자에 관한 이야기다. 현실에서 그림자가 없는 사람은 없다.우리가 그림자를 버린다는 것은 죽음을 의미할 것이다. 이 책에서 다른 도시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그림자를 버려야만 한다. 그렇다면 그것은 죽음을 의미하는 것일까? 데미안에서 알을 깨고 나와야만 진정한 성장을 한다는 얘기일까? 쇼펜하우어는 삶을 고통이라고 했다. 우리는 행복을 꿈꾸지만 실상은 고통을 짊어지고 이 생을 사는지도 모른다. 이 세상을 떠날 때는 무거운 짐도 내려놓고 나를 끈질기게 따라다니던 그림자도 벗어놓게 되리라. 이 세상에 대한 미련과 집착이 큰 만큼 그림자를 훌훌 벗어던지고 새로운 도시로 떠나는 게 신선하게 느껴졌다.
셋째 책 대신 꿈을 읽는 도서관이다. 현실의 세상에서 가장 인간적이면서 가장 지적인 공간은 도서관일 것이다. 이곳에서 우리는 순식간에 과거와 미래와 연결되고 시공간을 초월한 인류와도 만날 수 있다. 그러면서도 우리는 자아와 조우하며 지극히 개인적인 체험에도 몰입할 수 있다. 미래의 도서관, 사후세계의 도서관에서는 우리는 책 대신 꿈을 읽게 되지 않을까? 작가의 상상에 깊은 공감이 되었다.
최근에 헌치백이란 소설을 아주 인상깊게 읽었다. 중증척추장애를 가진 샤카는 비장애인 여성처럼 임신과 중절을 꿈꾼다. 누군가는 샤카에게 수십가지 이유를 대며 비판과 만류를 할 것이며 누군가는 절망의 끝에서만 느끼는 공감과 지지를 보낼 것이다. 나는 샤카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샤카에게 필요한 것은 사카 앞을 막고 있는 거대한 벽을 넘어 다른 도시로 당장이라도 미련없이 떠나게 할 사랑이리라. 그리고 지금의 불편한 육체는 언젠가는 미련없이 벗어버릴 그림자에 불과한 것이다. 저 벽 너머 도시에는 샤카를 위한 꿈을 읽는 도서관이 언제라도 문을 열고 기다리고 있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