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론
존 스튜어트 밀 지음, 박홍규 옮김 / 문예출판사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 시점에서 자유론을 읽는 사람 입장에서는

이 책의 4,5장 보다는 2,3장이 훨씬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150년 전의 어떤 사건에 대해 이런저런 분석을 하고 있는 4,5장도 결코 무의미하다 볼 순 없겠지만

세월과 상관없이 현대에도 의미를 갖는 자유와 개성의 가치, 다양성에 대한 찬양, 인간에대한 깊이있는 통찰에서 나온 인간성 자체에 대한 밀의 시각을 볼 수 있는 2,3장에 비할 바는 아니다.

그런 점에서 밀의 자유론을 단지 정치적인 테두리 안에서만 해석하려 하는것은 이 글의 생기와 진정한 의미를 일부 잘라내는 해석이라고 본다. 어쩌면 가장 중요한 부분을 무시하는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꼭 자유론을 이런식으로 해석해야만 한다는건 단지 내 의견일 뿐이니 정치적인 면에 중점을 두고 해석하는 방식이 틀렸다고 할수는 없다. 또는 특정 의도를 가지고 일부러 그렇게 해석했다고 할 수도 있다.

내가 문제 삼는것은 그 특정 의도라는 것이다.

 

 해설을 읽으며 해설이 순전히 학문적인 해설이라기보단 정치적인 의도가 담긴 해설이라는 인상을 받았다. 학문을 위한 학문이 아니라 자신의 의견을 지지해주는 도구로서 이 책을 해석한 것 같았다. 이 책과 별개로 '자유론 해설' 이라는 책을 따로 냈다면 거기서 무슨말을 하든 내가 비판할 바는 아니지만 번역본에 담기는 해설이라는 점에서 과연 그런 시각이 적절했는가 하는 의문이 생긴다. 은근히 자기 방식으로 해석할것을 유도하는 해설들이 번역본에 담길 경우 결코 학문적인 풍토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 같지는 않다.

 

 거기다 그 해석이란것도 그리 설득력이 있어보이지는 않는다. 자유론의 특정 부분을 해석하여 그것에 맞는 자기의 주장을 제시하는 정도였더라도 최대한 양보하여 그냥 넘어갔을 것이다. 그러나 자기의 의견과 합치하는 인용을 하는것이 아니라 자신의 주장이 우선이고 도리어 인용문을 자기의 주장에 맞춘다는 느낌이다. 주황색 분홍색 자주색등 미묘한 색깔의 차이를 모두 무시하고 한가지 색깔로 칠하려는 인상이 강하다.

 

 몇 번이나 국가 보안법이라는 단어를 봤는지 기억도 안난다. 실제 정치에서 당파나누기는 이제 지쳐서 더 기대도 안하지만 고전번역에서 까지 볼 줄은 몰랐다. 번역자체는 만족함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omnyang 2015-10-02 1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고전읽기가 무슨 훈고학이나 종교 경전 보듯 현실과 관계 없는 유희를 즐기는건 아닐 텐데요. `자유론`을 해석하면서 정치적 접근을 하지 않는다는것 자체가 형용모순입니다. 그리고 현실에 적용하면 사상의 자유를 다룬 이 책을 한국 현실에서 국가보안법에 대한 고민 없이 읽는다는건 무용합니다. 당파 나누기가 싫다고 하셨는데 사실은 글쓴분부터가 그냥 특정 당파가 싫으신 것이 아니신지? 아니면 당파, 정파를 부정하는 탈정치주의인지? 자유론의 내용 자체가 철저히 모두의 신념, 즉 당파를 인정하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다같이 `객관적`인 생각들만 하자는 것이 아니고. 정 비판을 하고 싶으시면 이런 애매한 지적보다 왜 박홍규의 해석이 틀렸는지를 논증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carol 2020-02-10 23:04   좋아요 0 | URL
정치적 의도 다분히 포함된 해설 맞는데요ㅋㅋㅋ 요약이랍시고 각 장 앞마다 역자 본인의 정치적 견해 주절주절 써놓질않나ㅋㅋㅋㅋ 내가 밀 자유론 읽으려고 샀지 본인이 쓴 책도 아닌 번역자 주제에 왜 남의 책에 사견을 쳐 달고 난리일까요? 얌전히 번역만 하면 되지? 그리고 people 을 인민으로 쳐 번역하던데 이것도 매우 거슬림. 인민과 국민의 뉘앙스 차이도 크게 없는데 인민이라는 단어에 민감한 우리나라에서 굳이 인민이라는 단어를 고르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