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이야기 전달자 - 2022년 뉴베리상 100주년 대상 수상작 오늘의 클래식
도나 바르바 이게라 지음, 김선희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뉴베리 상은 우리 나라에서도 해외 문학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들어봤을만한 미국의 아동문학상이다. 사실, 어린이 책에 주는 상이지만 어른이인 내가 읽어도 항상 뉴베리 수상작은 재미있었기 때문에 항상 유심히 챙기고 있다. 2021년에는 한국계 작가가 수상했다고도 들었는데, 이번에 위즈덤하우스에서 출간된 마지막 이야기 전달자는 뉴베리상 100주년 대상 수상작으로, 뉴베리 외에도 푸라 벨프레 대상도 수상한 명작이라고 한다.

이 책을 보는 내내 나는 'The Giver - 기억전달자' 라는 예전 뉴베리상 수상작이 떠올랐다. 제목도 비슷하지만, 모두가 평등하고 공평한 세상을 만들고 싶다는 전제가 깔린 디스토피아적 SF 소설이라는 점도 약간 기억전달자를 생각나게 만든다. 거기에 뉴베리랑 수상작이라는 공통점까지. 이 소설을 읽다보면 기억전달자 이외에도 우주선을 타고 떠나는 파피용이나 디스토피아 SF계의 고전이다 싶은 멋진 신세계 같은 책들이 떠오르기도 한다.

이 책의 배경은 수십년이 지난 뒤 핼리 혜성과 충돌할 예정인 지구를 떠나는 데에서 시작된다. 주인공인 페트라는 안타깝게도 할머니를 지구에 남겨두고 다른 행성을 향하는 우주선에 올라탈 수 밖에 없었다. 그 우주선에 탄 모든 사람들은 유리관 속에 잠든 상태로 380년 가량 지내게 되는데, 그 유리관 속에서는 380년 동안 사람들의 머릿속에 지식을 주입한다는 핑계 하에 모든 과거를 지우고 콜렉티브를 위해 봉사하게 만드는 세뇌 작업을 하고 있었다. 오랜 시간 후 잠에서 깨어난 페트라는 깨어나자마자 다른 아이가 다시 유리관 속으로 들여보내지는 것을 보고는 살아남겠다는 생각으로 모든 기억이 지워진 척한다. 그러면서 본인의 가족들을 찾아나선다. 지구에서부터 모든 기억을 가지고 있지만 지워진 척 해서 들여보내지지 않은 페트라가 어떻게 이야기를 전달하고, 살아남게 되는지에 관한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 이야기 전달자에서 콜렉티브가 꿈꾸는 세상은 외모부터 지식 수준까지 모든 면을 똑같이 갖춘 세상을 만드는 것인데, 그렇게 모든 것이 같으면 다양성이 사라지고, 발전도 없을뿐더러 공장에서 찍어내는 공산품과 무엇이 다를 것인가 생각해보게 되었다.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SF 소설인데 무거운 주제를 담고 있는 작품이라, 어린이나 청소년 뿐만 아니라 성인이 읽기에도 너무 좋은 작품이다.


-문화충전 200을 통해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