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 브러더스 사계절 1318 문고 45
우오즈미 나오코 지음, 고향옥 옮김 / 사계절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를 보는 순간 놀랐다. 브라더스라니?

동화에서 게이 문제를 다루리라고는 상상해 보지 못했다. 호기심을 자극했다.

도대체, 작가는 무슨 생각으로 게이 문제를 동화 속에서 다루려 했을까?

핑크색 구두에 하얀 스타킹을 신고서 뜨게질을 하고 있는 여자, 저 떡 벌어진 어깨가 바로 주인공 히비키의 형이다.

히비키의 형은 게이다.

히비키는 그런 형을 통해서 비로소 상처를 치유 받게 된다.

어떻게?

......

작가는 제목에 주제를 선명하게 들이민다.

'하모니'라고.

하모니?

그래, 하모니.

조화.

조화로운 삶의 기본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조화란 무엇일까?

남과 다른 점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거,

남의 다른 점을 이해하는 거,

그게 조화다.

그러나, 현실은 형을 철저하게 외면한다.

그를 낳아 키운 부모나, 사회 어디에도 그의 형이 발 붙일 곳은 없다.

그러나, 히비키의 게이 형은 자신이 여장을 할 때에라야 비로소 마음의 평화를 얻게 된단다.

사람을 죽인 것도 아니고, 도둑질을 한 것도 아니고, 간음을 한 것도 아닌데

사람들은 그를 단지 자신들과 다른 방식을 선택했다는 이유만으로 그를 경멸하고 천대한다.

그러나, 아무리 세상이 형을 경멸해도 형은 자신이 선택한 방법을 포기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방법만이 형이 부모의 기대와 욕망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으니까.

형 몫의 기대까지 한꺼번에 받은 히비키는

자신의 참된 목소리와 부모의 욕망이 뒤섞인 채 제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모른 채

차갑고 냉정하며 비열하기까지 한 아이로 변해 간다.

히비키는 자신이 그렇게 변해가는 이유를 알지 못했다.

친구를 이용하고, 배신하고, 가족을 속이고, 혼자만의 공간 속에서 행복을 느끼게 된 히비키.

히비키는 자신이 늘 차지하던 우등생의 자리에 다시 설 수 없는 것을 알게 된다.

초등학교 때와는 달리, 전교 수재들만 모아 놓은 특목 중학교 내에서는

히비키의 성적은 별 볼 일 없어졌다.

히비키는 자신의 그런 처지를 부모에게 털어 놓을 수 없다.

부모는 절대 그런 히비키를 이해하거나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을 히비키는 너무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부모의 히비키에 대한 절대적 기대는

히비키 자신에게는 절대적 절망으로 자리 바꿈을 하고 있었다.

그러던 히비키의 삶 속에 불현듯 여장을 한 형이 모습을 드러낸다.

히비키는 그들의 부모가 그의 형에게 그렇게 대했듯이

형을 무시하고, 불쾌하게 여겼다.

그러나,

서서히 형이 느끼는 평화에 매료된다.

히비키가 골방에 숨어서 그토록 간절히 그리워하던 자신 내면의 평화를 형은 간직하고 있었던 것이다.

히비키는 형의 쾌활한 웃음과 평화에 호기심을 갖게 되고,

마침내 형이 그런 방법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던 형의 처지와 현실을 이해하게 된다.

히비키 자신도 그런 처지와 현실에 놓였으므로 히비키가 형을 이해하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그의 부모가 죽었다 깨어나도 그의 형을 이해할 수 없는 것에 비하면, 히비키의 형에 대한 이해는 순간에 불과했다.

그리고, 히비키는 비로소 밝힌다.

그 동안 집 안의 화분을 깬 범인이 자신이었음을. 자신의 선택한 파괴적이고 범죄적인 방법 말고도 형이 선택한 방법을 배웠으니까. 이제 속 시원하게 자신의 범행을 밝힐 수 있게 된 것이다.

 

.... 히비키의 범죄보다는 그래도 형이 선택한 여장의 방법이 훨씬 더 반 사회적이다.

....

이 책을 통해,

나와 다르기 때문에 멀리하고, 혐오하며 무조건 피하려 했던 내 편협한 자세에 대해 다시 한 번 깊이 반성하게 되었다.

하모니.

조화로운 삶.

그것을 향해 내딛는 첫걸음은

편견의 그늘을 벗어나는 일일 것이다.

 

동화에서는 게이 문제를 다룰 수 없다는 것부터가 편견이었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