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를 잡자 - 제4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푸른도서관 18
임태희 지음 / 푸른책들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생님으로서는 어려운 일이었을 게다. 선생님은 지식을 전달해야 하는 막중한 임무가 있는 사람이고, 아이들을 대학엘 보내야 한다. 인간으로서 인간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겪는 아이들에게 관심을 보여서는 안 된다. 보인다해도 해결할 방법도 별로 없을 것이다. 주홍이 담임이 처한 상황은 충분히 이해한다. 현실이니까. 그러나, 주홍이 담임은 궁금했다. 정말 사물함 속에 쥐가 들었을까가 궁금했다. 그러면서 개인의 인격을 침해하면 안 된다는, 알아서 본인이 잘 하겠지 하는 개인주의적인 소극적인 자세로 아이를 방관하고 만다.
주홍이는 17살. 고등학교 1학년. 임신을 했다. 주홍이 엄마는 20살에 아빠 없이 혼자서 주홍일 낳아 키웠다. 주홍이 엄마는 세상으로부터 자신이 버림 받았다는 흔적을 지우기 위해 긴 시간을 보내왔다. 이제, 결혼도 하지 않은 딸이 아빠도 없이 아이를 가진 상황에 대해 모르는 척한다. 냉장고 속의 쥐를 끝까지 억지스럽게 방관한다. 하루에도 서너 번씩 열고 닫아야 하는 냉장고인데 그냥 둔다. 그러다, 주홍이가 낙태 수술을 받기 전날 냉장고를 연다. 몇 달 동안 방치돼어 있던 냉장고 속 음식들은 모두 썪었지만 그래도 쥐는 없었다. 쥐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고도 엄마는 주홍이에게 낙태 수술을 받게 한다. 쥐는 처음부터 엄마의 마음 속에 숨어 있었던 것이다. 엄마가 주홍일 낳은 이후 받은 세상으로부터의 상처가 쥐가 되었던 것이다.
낙태 수술을 받은 후 주홍인 끝내 자신의 몸에서 자라던 한 생명을 거부한 죄책감으로 죽게 된다.
그제서야 주홍이 엄마는 자신의 가슴에서 쥐를 몰아 낸다. 주홍이 담임도 그제서야 쥐를 몰아 낸다.
내 가슴에도 쥐가 있을까?
책을 읽는 내내 불편했다.
내 가슴에 숨은 쥐를 잡아야 한다. 모두들 쥐가 있다. 쥐를 잡아야 한다. 피해도, 방관해도 없어지지 않는다. 잡아야 한다. 그래야 산다. 내 딸이 살고, 내 딸의 아이가 산다.
주홍이. 진주홍.
진한 주홍 글씨 같은 아이.
미혼모인 엄마의 가슴에 형벌 같은 주홍 글씨로 새겨진 아이.
잉태할 수 있다는 축복이.
잉태할 수 있던 때에 사랑을 나눈 행복이
형벌이 된 아이.
....
이 작품을 읽고 얼마나 울었는지 모른다.
정말 짜증이 났다.
왜 담임은 그토록 제 가슴에서 울리는 자신의 진실을 외면했나?
왜 엄마는 제가 살아온 삶을 당당하게 내세우지 못했나?
왜 항상 남만 의식하며 사는가?
자신이 느끼는 진실, 자신이 느끼는 생명의 기쁨, 자신이 당당하게 거부하며 이끌어온 삶의 행복을 왜 무시하나?
돌아보니 책 속의 이야기가 아니다.
내 현실 이야기다. 지금도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가슴에 자신의 진실을 담지 않고 쥐를 담아 키우고 있다.
쥐를 잡아야 한다. 그런 편견을 버려야 한다.
받아들이고, 사랑해 줬더라면.
이해하고, 그대로 주홍이 그대로 받아 줬더라면.

<"아기......낳아 볼까?"
그 순간 나는 돌아 버렸다. 거칠게 걸어가서 따귀를 때렸다. 고개가 홱 돌아가고 새빨간 손자국이 났다.
우리 둘레에 쳐진 높은 벽을 보라고 고함을 칠 작정이었다. 내가 그 앨 낳고 어떻게 살아 왔는지 지루하게 얘기해 줄 생각이었다. 하지만 그럴 필요가 없었다.
"그냥 해 본 말이에요. 다음 주에 수술 날짜 잡혔어요."
딸아이가 피식 웃으며 말했다. >

17살 주홍이는 그래도 용기내어 낳아보려고 했던 것인데.
엄마의 용기 없음이 아이를 내몰았다. 엄마의 자신에 대한 확신 없음이 아이를 내몰았다.

이 작품이 널리 읽히길 바란다. 저마다 마음 속에 쥐를 키우고 있는 숱한 사람들 속으로 널리널리 퍼져 읽히길 바란다. 그래서 낙태에 대한 편견을 바꾸게 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17살 아이도 아이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 아이를 키울 여건이 되든 안 되든 아이는 태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그런 사실을 깜박 잊고 사는 세상이 그걸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주홍이 뿐인가? 숱한 여자들이 지금도 낙태 수술을 한다. 성교육도 개방 시켜야 할 일이고, 낙태가 아니라 다른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어차피 아이는 부모가 혼자 키우지 않는다. 사회가 같이 책임져 주어야 할 일이다.
양호 선생님이 따뜻하게 주홍일 받아주고 이해해 줘서 고마웠다. 그래도 적극적이지 못했던 점이 아쉬웠다. 양호 선생님 개인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었겠지만 말이다. 어차피 방관이라는 이름은 담임이나, 엄마나,양호 선생님이 다 똑같다. 무슨 하늘의 천벌이나 받은 것처럼 궁상을 떠는 할머니하고 하등 다를 바 없다. 다들 양심의 범죄자다. 주홍이를 죽게 방관한 죄를 지은 양심의 방관자들. 우리 사회에 이런 일이 더 이상 커지거나 확대되지 않도록 다들 마음 속의 쥐를 잡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