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몬드 (양장) - 제10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손원평 지음 / 창비 / 2017년 3월
평점 :
절판
너도 찾게 될 거야, 네 안의 다이아몬드 <아몬드>
이 소설의 주인공은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소년(윤재)이다. 그러니까 이 소설은 이 소년의 성장기다. 괴물이라고 불리던 소년이 또 다른 괴물을 만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이다. 이 또 다른 괴물은 곤이라는 아이인데, 어릴 때 엄마를 따라 놀이공원에 갔다가 부모를 잃어버리고 이 집 저 집을 전전하며 살다가 시설에 들어가 살게 되고 소년원에도 들락날락하게 되고. 그런 아이다. 원래 가정은 유복한데 엄마 손을 놓쳐 그리되었다. 이런 곤이를 대학의 교수인 아버지는 부끄러워했던 것 같다. 그래서 곤이와 비슷하게 생긴 이 소설의 주인공을 곤이 대신으로 곤이 엄마 앞에 데려간다. 곧 세상을 떠날 자신의 아내 앞에. 그래서 곤이는 주인공 소년을 처음에는 미워한다. 엄마를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만날 수 있는 기회를 (곤이는 너무 어릴 때 엄마와 헤어져서 엄마에 대한 기억이 거의 없는 상태였다) 낯선 아이가 빼앗아가 버렸기 때문이다. 주인공 소년은 이 아이와의 만남을 통해 껍질이 벗겨지고 그 속에 든 아몬드를 다시 찾을 수 있었다. 아몬드 열매는 복숭아 모양으로 익으면서 껍질이 터져 속의 씨앗인 아몬드가 나온다. 감정표현불능증인 소년이 누군가와의 만남을 통해 성숙해지는 과정. 작가는 그 과정을 아몬드로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 같다. 그래서 제목도 아몬드라고 했던 것 같다.
소설 속에서도 소년의 어머니가 자신의 아들이 '감정표현불능증' 알렉시티미아 환자라는 것을 알고 두뇌 발달에 좋다는 아몬드를 계속 먹이기도 한다. 그런 장면이 나온다. 소년은 누군가에게 맞으면 아픔을 느끼지만 그것을 표현하는 단어를 모른다. 감정에 따른 신체적 반응은 있지만, 단지 이를 언어로 ‘번역’하는 능력이 갖춰지지 않은 상태였다. 감정표현 불능증을 표현하는 알렉시티미아는 번역하면 '영혼을 표현하는 단어가 없음'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한다. 그러니까 이 소설은 영혼을 표현하는 단어를 갖고 있지 못했던 아이가 그것을 다른 아이를 만나 찾게 되는 이야기라고 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이 책의 마지막 장을 덮을 때 눈물이 흘렀다. 나도 모르게. 나도 왜 울었는지 모른다. 슬퍼서 흘린 눈물은 아니기에 감동을 받아서 흘린 것이라고 생각한다.
책을 다 읽고 나서 이 작가의 다른 작품도 읽어보고 싶어져서 이 작가의 이름을 검색했다. 영화 똥파리의 번역을 맡기도 했던 영화감독이 네이버 검색창에 떴다. 이 소설을 쓴 작가는 아무래도 그 분인 것 같은데? 책의 맨 뒷장에 작가에 대한 소개글이 나와 있었다. 그 분이 맞았다. 이 소설은 제10회 창비청소년 문학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왠지 그럴 것 같다고 생각하며 읽었는데 맞구나. 묘사는 세밀했고 한 장면 한 장면이 영화처럼 스쳐지나갔다. 때로는 웃었고, 때로는 가슴 아팠고 마지막 장을 덮을 때는 눈물이 났다.
소년은 웃을 수 없어 살아남았다. 묻지마 살인에서. 그리고 괴물이라 불리는 아이를 만난다. 이 소설 속에서 작가는 주인공 소년의 할머니(할멈)의 입을 빌려 '사랑은 예쁨을 발견하는 것'이라 말했다.
서로의 예쁨을 발견해준 아이들의 이야기였다. 그로 인해 성장하는 아이들의 이야기였다. 아몬드 껍질 속의 단단한 아몬드를 한 입 와그작 깨물면 입안 가득 퍼지는 고소함을 느낄 수 있듯이 내 안에 숨어있는 다이아몬드를 발견하는 아이들의 이야기였다. 맞다, 사랑은 결국 예쁨을 발견하는 일이다. 잡은 손을 놓지 않는 일이다. 귀한 소설을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