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 쌉싸름한 초콜릿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8
라우라 에스키벨 지음, 권미선 옮김 / 민음사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콜릿은 사랑의 다른 이름이며, 유혹의 다른 이름이며, 욕망의 다른 이름이다. 그 카카오 특유의 풍미와 중독성, 달콤함 속에 숨겨진 마력. 그저 달콤하기만 했다면 초콜릿은 지금처럼 매력있는 음식으로 남지는 않았을 것이다. 달콤함의 뒷맛을 남는 쌉싸름함. 우리는 도리어 그 쌉싸름함을 잊지 못한다. 요리와 사랑, 섹스, 욕망이 뒤트러져 섞여있는 이 소설은 뜨거운 화로 위에 올려진 스프처럼 우리를 요리한다. 막내딸은 어머니가 죽을 때까지 결혼도 못하고 어머니의 시중을 들어야하는 전통, 그녀를 사랑하기에 언니와 결혼하는 남자, 딸에게 정숙함을 강요하며 한편으로 부정을 저지른 어머니, 열정을 주체못하는 언니, 엄마의 욕망만을 배운 언니. 그 책에서 정상적으로 보이는 사람은 그나마 존이지만, 그는 욕망을 거세한 듯이 보여서 도리어 이 이야기의 극점에 서있는 듯이 보인다. 막장의 끝을 달리는 듯한 이야기가 매력있는 것은 티타의 요리와 거기에 드러나는 그녀의 욕망이다. 사람과 슬픔, 욕정, 환희, 안타까움 등 그녀의 감정은 그대로 요리가 되고 사람들의 마음을 울린다. 단순한 음식이 아니라 마법의 가루를 탄 듯한 그녀의 요리, 그 요리와 인생 이야기가 절묘하게 어울림과 작품 전체를 흐르는 환상적이고 몽환적인 흐름이 책을 읽는 사람들도 그녀의 요리 속으로 데려가는 힘이 있다. 책 전체에서 펄펄 끓는 초콜릿의 냄새가 나는 듯 하다. 그녀의 인생은 아름답지도 완벽하지도 부럽지도 않다. 하지진짜 사람에 빠져본 사람이라면 그녀와 함께 주방에서 서서 음식을 하고 싶어질 지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런던 스케치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82
도리스 레싱 지음, 서숙 옮김 / 민음사 / 200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이야기가 뒤덮힌 음울하고 어두운 기운, 불편하지만 진실인 이야기가 있어서 읽기 시작했으면서도 별로 손이 가지 않았다. 여러가지 모습의 사건이 불행이라고 불릴 수 있는 형태로 그려진다. 작가의 전면적인 이야기의 주도보다는 세밀하게 지켜보며 기록한 것 같은 세밀화의 느낌이다. 구겨진 슬리퍼, 냄새나는 쓰레기통, 거리를 헤매는 더러운 개, 찌그러진 담배꽁초가 보이는 런던. 런던이 이런 거라면 서울과 다른 것이 무엇일까 하는 생각만 했다. 언제적 런던을 그린 것일까. 하지만 지금의 런던에도 오늘의 서울에도 이런 일들은 일어난다. 다 읽고 나서야 알았다. 도리스 레싱. 다섯번째 아이의 작가. 그제서야, 역시. 갑작스럽게 생긴 불행이지만 영원히 떨쳐내질 못할, 그렇게 원죄처럼 가져가야했던 다섯번째 아이. 그 태동에 여기 있었다. 단편집이라 그 모습을 다 보여준다기보다는 커다란 드레스 사이로 보이는 시커먼 발같은 불행의 인상이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에 속한 단편을 여러번 읽어본 결과, 사실 장편보다는 이야기의 힘도 작품의 완성도도 약한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 작가의 대표작과의 연계를 생각하며 이런 모습에서 그 작품이 나왔구나는 생각을 하며 읽는 정도로 좋을 것 같다. 작품 자체는 좀 약해서 도리스 레싱의 작품을 읽는다면 다섯번째 아이를 추천하고 싶다. 

src="http://banjiru.tistory.com/plugin/CallBack_bootstrapper?&src=http://s1.daumcdn.net/cfs.tistory/v/0/blog/plugins/CallBack/callback&id=1071&callbackId=banjirutistorycom10717892&destDocId=callbacknestbanjirutistorycom10717892&host=http://banjiru.tistory.com&float=left&random=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 실격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3
다자이 오사무 지음, 김춘미 옮김 / 민음사 / 200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무엇인가?

 

다자이 오사무의 명성은 익히 들어왔지만 작품을 접한 건 처음이다. 언제나처럼 작가 약력부터 책 속 표지에 있는 작가약력부터 읽어내려가는데, 약력이 보통이 아니다. 소설가 중 보통의 약력을 가진 사람이 드문 건 사실이지만, 다자이 오사무는 일반인이 보기에는 유리알같은 심장의 소유자일 거라는 생각을 해본다.

 

이야기의 시작. 사람같아 보이지 않는 사람의 사진 세장. 타고나기를 남다른 성질을 가지고 태어난 한 남자의 파멸 이야기이고, 도무지 편할 수 없는 이야기의 흐름을 지속한다. 평소의 나는 이런 류의 이야기는 굉장히 힘들어하면서 읽는다. 사람이라는 건 여러가지 모습을 가지고 있지만 그 아름답지 못한 모습, 그 불편한 모습을 마주한다는 건 그다지 유쾌하지도 즐겁기도 쉽지도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다자이 오사무의 필력은 대단하다. 숨쉴틈없이 빨려들어 전혀 지루함없이, 망설임없이 책장을 넘기게 된다. 이 정도 문장력있는 작가의 글을 읽는 건 몇년만인지 모르겠다.

 

요조의 삶의 변화는 급격했지만, 그 내면의 모습은 잔잔한 호수처럼 일정하다. 어쩌다보니 삶은 그렇게 흘러가버린 듯도 하지만, 스폰지처럼 그 불행을 받아들이고 선택한 것도 같다. 처음부터 인간의 일희일비, 이중성을 농락하는 것 같은 그의 태도는 흔히 말하는 성공으로도 이끌 법도 했지만, 인간의 이면을 가장 잘 알고 있는 그가 그 길을 선택하지 않았는 것은 당연해 보인다. 인간을 실격했다기보다 처음부터 인간의 어쩔 수 없는 본능이자 원죄인 양면성을 가지지 못한 요조는 그저 죽음에 대한 기다림을 선택한다. 요조의 끊임없는 주절거림에 그가 안쓰럽기도 했다가, 그를 혼내고 싶기도 했다가, 그의 모습이 애절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그는 인간이기를 실격한 것일까, 우리가 인간이기를 실격하고 있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할리우드 다이어리 - 한국인 최초 CSI 출연한 배우 양진영의
양진영 지음 / 동아일보사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좀... 뭐랄까, 정체를 알 수 없는 책이었어. 할리우드 성공 스토리도 아니고 할리우드 여행서도 아니고, 문화 기행도 아니고 에세이는 에세이인데 배우도 아니고 할리우드에 관심도 없는 나로써는 그리 흥미롭지도 재미있지도 멋지지도 않았어. 배우를 꿈꾸거나 혹은 새로운 시작의 길에 있는 사람이라면 좀 다른 느낌일 수 있겠지만 말이야. 

표지랑 디자인만 봤을 때는 칙릿의 분위기였는데 막상 열어보면 성공스토리를 쓰려는 것 같기도 하고, 거기다 핫하게 쓴다면서 할리우디안의 모습, 생활에 대해 슬쩍슬쩍 보여주기도 했는데, 덕택에 더 정신없었지. 선택과 집중이 없어. 과유불급. 아, 원래 그런 의도를 가지고 쓴 것인가? 글쎄, 그거는 알 수 없지만, 나한테 그냥 한번 쭈욱 읽고 '흐음'하고 덮어버릴 정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잘 자야 잘 산다 - 성공하고 싶다면, 예뻐지고 싶다면, 건강하게 살고 싶다면 잠부터 점검하라
이종우 지음 / 동아일보사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잠의 중요성은 잊을 만하면 뉴스에서 한번씩 다룬다. 몇시간은 자야 성장발육에 좋다는 둥, 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등 한번씩 나오지만 잠자는 것보다 할 일이 많고 재미있는 게 많은 현대인들은 잠의 중요성을 간과하기 일쑤. 충분한 수면을 하면 머리도 맑고 건강도 좋아지고 좋지, 좋은 걸 아는데 참 쉽지 않다.

이 책은 잠을 많이 자자 이런 내용도 없지는 않지만 그보다는 수면 장애의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고 수면 장애인 줄 모르고 그냥 고질병이니 하고 사는 사람들에게 치료를 받으면 양질의 수면을 취할 수 있습니다 라고 말하고 있다. 흔한 수면장애인 코골이도 그 원인이 다양하고 그에 맞는 치료법 하다못해 보험에 대한 이야기까지 상세하게 실려있어서 한번 쓱 읽어보면서 나는 문제없이 양질의 잠을 자고 있는가 하고 점검해볼 수 있는 책이다.

다양한 수면질환의 증상에 대한 소개와 치료방법이 읽기 편한 의학칼럼처럼 줄줄줄 나열되어 있어서 한번 쓱 읽기는 좋지만, 특별히 수면질환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그다지 흥미로운 내용은 아니다. 평소에 불면증 및 코골이, 기타 잠에 대한 고민이 많은 사람들만 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