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가 사라진 날 ㅣ 두고두고 보고 싶은 그림책 101
신민재 지음 / 길벗어린이 / 2020년 10월
평점 :


나무가 사라진 날
신민재 그림책
길벗어린이
작가의 말
“책상에 억지로 앉아 있을 때, 분하고 억울한 마음에 무언가로 변해버리고 싶을 때가 있었어요. 마음을 도닥여 주는 한 마디만 있었다면 그날 저녁이 그렇게 슬프지는 않았을 텐데...”
친구들이랑 신나게 놀고 들어와 엄마에게 야단을 맞고 숙제를 하던 나무는 책상앞에 앉아 딴 짓을 하다가, 엄마한테 또 혼이 나고, 눈물을 뚝뚝. 집집마다 자주 보이는 모습이죠?
??”나무는 다시 책상에 앉아서 무겁게 연필을 들었어요.”
이 말은 제 마음도 참 무겁게 만드네요. 발랄한 아이의 모습으로 뛰어노는 걸 보고 싶다가도 숙제가 밀려있거나 약속한 걸 지키지 않았을 때는 참 속상해서, 또 마음보다 쎈 말투로 아이에게 공격을 하던 저의 모습들을 돌이켜 봅니다 ㅎㅎ
나무(아이이름)는 의자로 변해 버렸어요.
하지만 의자로 변해버린 나무를 알아보는 건 역시 엄마라는 설정도. 아무도 그 말을 믿어주지 않았지만, 친구들은 나무가 아무것도 할 수 없어서 심심하겠다고 그 의자를 들고 놀아주는 설정도. 아이들이 떠나간 밤하늘을 엄마와 나무가 같이 올려다 보는 장면도. 뭉클하네요.
사실 환경이 그렇습니다.
날이 좋아서 뛰어놀게 해주고 싶고,
코로나가 조금은 수그러들었으니
이 가을을 잔뜩 느끼고 오라고
어릴 땐 즐겁게 신나게 공부를 해야 한다고
창의력에 좋다는 놀이식 수업을 좇아가다가도
어느 순간이 오면 아차 하며
학원의 수가 늘어나고
즐거움이나 재미보다는 점수에 연연할 수 밖에 없는
엄마들의 진심과는 좀 다른 방향으로 가는 건
환경이 그렇기 때문이라고
저는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엄마들이 처음부터 도끼눈을 떴던 것도 아니고
아이들의 순수함을 막고 싶지는 않았다고
변명을 해보아요. ㅎㅎ
어쨌거나 속상함에 의자로 변한 나무는, 작가님의 말처럼 ‘마음을 도닥여 주는 한 마디’가 중요하다는 말에는 공감합니다.
그래서 사실 전 사과의 스킬이 좀 증가한 상태예요 ㅋㅋ 욱하는 엄마. 하지만 돌아서면 그러고 싶지 않았다고. 마음을 전하는 쪽을 택하고 있습니다. 근데 사실, 소리치기 전에, 엄마는 참 많은 양보를 한다고 하는데 끝이 없는 요구를 하니 엄마들도 화가 나는 건 어쩔수 없을때가 많아요. 하지만 문제의 본질에 비해 과하게 화낸 것에 대해서는 사과하기로!! ??
요즘 처럼 긴 시간 붙어 있으면서
좀 머리가 큰 아이들과 안 싸우는 건 참 힘듭니다. ㅋㅋ
그래도 그 이후엔 따뜻한 대화와 포옹으로 마음을 어루고 달래주며 하루를 마무리 해보세요.
우리 아이도 상처 받은 어느 날,
부모 앞에서
마음이 꽉 닫힌
의자로 변할지도 모릅니다.
아이의 마음도 치유하고
엄마의 마음도 달래진채로 넘어갈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한 때인 것 같아요.
따뜻한 공감의 책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gilbutkid_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