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 없이 존중하는 엄마의 말 - 아이의 자기긍정감을 키우는 몬테소리×레지오 에밀리아 대화법
시마무라 하나코 지음, 김은선 옮김 / 더난출판사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존감이 높은 아이로 키우고 싶은 부모들에게 추천하는 도서이다. 부모의 잘못된 훈육법이 아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굉장히 크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올바른 훈육법, 칭찬법을 배움으로써 아이들의 자존감을 높여주고 부모자식간 관계의 질을 높여주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나는 '무조건 훈육'를 하고 있나, '조건부 훈육'를 하고 있나 생각해보니 '무조건 훈육'인척 '조건부 훈육'를 해왔던 것 같다. 많은 육아서에서 배운 좋은 것들은 다 따라하려고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 했다. 특히 큰 아이의 방학이 시작되니, 나는 나의 그릇의 한계를 다시 한번 느꼈다. 아이들에게 폭력을 휘두른 것은 아니지만, 이 책을 펼치고 덮을 때까지 나의 잘못된 육아방식에 죄책감이 들었다.



 저자는 육아가 아이들에게 대물림 된다고 말한다. 부모입장에서 제일 무서운 말은 '대물림'이다. 좋은 것을 물려줄 때는 대체적으로 '대물림'이라는 단어를 잘 쓰지 않는다. 부정적인 것을 아이들에게 물려줄 때 우리는 '대물림'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사실 지금도 늦지 않았다. 조금씩 조금씩 바뀌어가면 된다. 


저자가 일러주는 무조건 훈육의 5원칙. 잘 보이는 곳에 써두고 틈틈히 봐야겠다.

이렇게만 훈육할 수 있다면 아이들에게도 부모인 나 자신에게도 좋은 감정만 남는 훈육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내 욕심부터 버리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나또한 항상 아이들에게 바라는 것은 많으면서 같이 지내는 시간 동안은 그저 나에게 순종해주기만을 바라지 않았나. 아이들의 시선에서 내가 얼마나 편협한 부모일지 생각하니 부끄러워진다. 그래서 나의 입맛대로 순종적으로 자란 아이에게 무의미한 칭찬을 남발왔었던 것 같다. 사실 그것이 아이에게 독이 되는 줄 알면서도 그랬다. 지금의 내가 편해지기 위해서 말이다.


큰 아이는 동생이 태어나고 제약이 많아졌다. 확실히 아이 하나일 때와 둘일 때, 그 차이는 굉장하다. 스트레스와 육아강도, 훈육의 빈도 모두.. 아이가 하나일 때보다 확연히 높아졌다. 하지만 그것또한 모두 나의 몫이다. 아이들과 함께 행복한 가정을 이루기 위해서는 엄마인 나부터 노력해야한다. 아이와 대화할 때 '결과' 위주로 이야기했었는데, 이제는 '과정'을 위주로 대화해야겠다.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