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조처럼 소통하라 - 편지로 상대의 마음을 얻은 옛사람들의 소통 비결
정창권 지음 / 사우 / 2018년 8월
평점 :
세종이 서민들을 위한 한글을 만들었을 때 양반귀족들은 서민언어인 한글사용을 꺼려했다. 그렇기에 한글은 한문으로 기록되어 진 형식적인 문서들과는 달리, 평소 우리가 가까운 사람(가족,애인,친구등)에게 쓰는 편지같은 비형식적인 글쓰기에 더 많이 사용되었다. 쉽게 말하자면 더 인간적인 글쓰기인 것이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우리는 한글로 작성된 편지에서 당시의 시대상이나 문화,유행등을 더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우리는 이 도서에 수록되어있는 편지들을 통해 사람과 사람사이의 진정한 소통법이 무엇이었는지 생각할 수 있다. 요즘 시대는 특별한 일이 아니면 편지를 쓰지 않는다. 전국팔도가 잘 연결되어 있어 보고싶을땐 차를 타고 가서 만나면 되고, 그것이 불가능하더라도 간단한 전화나 문자,SNS로 충분한 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우편들과 편지는 그 정서가 매우 다르다. 나는 가끔 전하지 못하는 말들이 있을 때는 편지를 통해 전달하고는 하였다.
선대 위인들의 편지를 읽고 있자니 멀게만 느껴졌던 그들이 좀 더 인간적이고, 가깝게 느껴졌다. 특히 나신걸, 박지원, 이황이 아내에게 썼던 편지들이 기억에 남는다. 그들의 일화는 내가 듣고 배워왔던 가부장적이고,상투적이고,권위적인 일부다처제 조선시대 남자들의 이미지를 깨트려 주었다. 역시 사람은 캐바캐라고.. 이제 조선남자라는 단어를 비관적의미로 사용하지 않아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