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없이 승리하는 법 - 나서지 않아도 존재감이 드러나는 사람들의 비밀
주희진 지음 / 걷는나무 / 2012년 1월
평점 :
품절


한국이라는 사회에서는 목소리 큰 사람이 이긴다는 말이 통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내 경우에는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조용히 있으면 능력없고 우유부단한 사람으로 간주되는 경우도 겪었고 그때문에 손해도 많이 보았다. 그래서 무리를 해서라도 내 목소리를 내려고 한 적이 많았다. 소리없이 능력을 인정받고 원하는 것을 성취해가는 조용한 승리자에 대한 저자의 의견과 어떻게 하면 그런 능력을 체득할 수 있는 지 알고 싶어 읽기 시작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지금 당장 실천하고 싶은 점이 세가지 있다. 
 

첫번째는 설득하고 싶다면 쉬운 목표부터 말하라는 것이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느끼는 것은 내 생각을 남에게 설명하면서 함께 행동하기를 설득하는 것이 정말 힘들다는 것이다. 진정성을 가지고 내 생각을 설명하는 것은 기본중에 기본이지만 진정성만을 가진 내 생각을 남들이 이해해줄 것이라는 순진한 생각은 없어진 지 오래다. 모든 사람들은 저마다 자신만의 가치척도가 있다. 그런 사람들을 설득하기란 굉장히 어려운 일이라는 것이 내 생각이다. 그런데 저자의 설득하고 싶다면 쉬운 목표부터 말하라는 의견과 저자의 사례를 읽고 상대방입장에서 이해할 수 있는 쉬운 단어를 기반으로 상대방 입장에서 와닿을 수 있는 사례나 비유를 적극 활용한다면 더군다나 그 바탕에 진정성이 깔린다면 남을 설득한다는 것이 어려운 일만은 아닐 수 있다는 생각과 함께 다음에 남을 설득할 일이 있다면 반드시 실천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두번째는 본전생각을 잊으라는 저자의 충고다. 회사생활을 하면서 나와 너무 비슷하다고 느낀 동료가 있었다. 그래서 난 묻지 않아도 먼저 손을 내밀어 도움을 준일이 많았고 유치하게도 마음속으로 나와 같은 편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어느날 그 동료가 내 의견을 지지하지 않고 심지어 내말을 듣지조차 하지 않는 경험을 하고 마음의 문을 닫아버린 적이 있다. 그런데 저자의 충고를 읽는 순간 그 사람과의 관계에서 혹시 내가 본전생각을 했던 건 아닐까 하는 반성을 하게되었다. 내가 이만큼이나 도와줬으니 너도 그만큼 나에게 갚아야 하는 것 아니냐는 생각을 하면서 서운한 감정이 생겨 좋았던 관계에 금이 간 것 같다. 앞으로 인간관계에서는 본전생각은 가능한 하지 않도록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세번째는 위로받고자 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건 처방이 아니라 공감이라는 저자의 생각이다. 가끔 주변의 사람들에게 위로를 해야하는 경우가 생긴다. 상대방의 얘기를 듣고 난 항상 그 사람의 문제가 뭔지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 지 의견을 제시하려고 했다. 그리고 내가 조언할 수 없는 문제에 대해서는 섣불리 고민상담을 하려고 하지 않았다. 그런데 이 책에서 저자는 위로란 상대의 처지에 깊이 공감하고 상황이나 감정, 욕구를 파악하여 그 사람이 원하는 말이나 행동을 하는 것이라고 정의내렸다. 상대가 원하는 말이나 행동을 하는 건 그저 감정적인 생각일 뿐 진정 도움이 되는 것은 이성적으로 어떻게 해야 문제를 해결하는 지에 대한 의견제시라고 생각해왔던 내 생각은 과연 맞는 것이었을까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내가 생각할 수 있는 방향제시라는 건 사실 일반적인 생각으로 그건 상대방도 다 알고 있다는 저자의 생각에 동의한다. 이럴때 가장 필요한 것은 상대가 감정을 다 토해내고 이성적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간인데 이런 기회를 주는 것이 위로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가지 동의할 수 없는 저자의 의견은 주인공이 아니어도 괜찮다는 것이다. 이 장을 읽고 생각해보니 곰곰 생각해보니 그다지 예쁘지 않은 외모에 특별한 재능을 갖지 못한 난 자라면서 한번도 주인공이라는 생각으로 살지 못했고, 그래서 난 항상 앞에 나서기 주저하게 되었고 상대적인 박탈감을 느끼면서 살아온 것 같다. 심지어 소설을 읽어도 주인공보다는 그 친구들에게 더 감정이입이 되는 걸 느끼며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서운함을 느낄때도 난 주인공이 아니니까 라는 생각에 그런 대접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날 보고 깜짝 놀란 적이 있었다. 그때 느낀 것이 내 인생에서는 내가 주인공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이야말로 자존감을 가지고 당당하게 살수 있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저자의 의견에는 동의하며 또한 저자가 이야기하는 각 장의 주제도 내가 줄곧 고민해왔던 내용이 많았다. 이 책을 한장씩 읽을 때마다 내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또한 여태까지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는 귀를 가졌다고 생각해 왔던 내가 사실은 큰 귀보다는 큰 입을 가진 사람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이제부터라도 큰 입보다는 큰 귀를 가진 사람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할 지 다시한번 책을 읽으면서 고민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