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럼프 심리학 - 오래된 습관 슬럼프와 이별하는 법
한기연 지음 / 팜파스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늘 바쁘게 살아가는 데 가끔 왜 회사나 개인 생활이 내 맘대로 안되는 지 고민이 될때가 있다. 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항상 바쁘게 사는데도 어느 시점에서 보면 아무것도 이룬것이 없고 아무것도 해낸것이 없고.. 그런 생각이 들때는 생활에 지쳐 그저 안으로 숨기만 하려고 한 것 같다. 그런일이 늘어나니 사람들과의 관계도 소원해지는 것 같구. 이런 고리를 끊으려면 어떻게 해야되는 지 알고 싶은 마음이 들어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먼저 이 책을 읽고 슬럼프가 왜 나에게만 오는 지라고 생각한 마음을 바꿨다. 가끔 슬럼프라는 것이 전혀 오지 않을 것 같은 재능있는 사람을 보곤 한다. 그런 사람을 볼 때마다 나는 왜 그런 재능을 타고 나지 못했는 지... 원망스러운 맘이 들고 자괴감에 빠져들곤 한다. 항상 남의 시선으로 나를 재단하고 남이 나를 어떻게 볼까 전전긍긍하는 동안은 나는 슬럼프에서 헤어나올 수 없다고 저자는 역설한다.

일의 실수를 인격의 실수로 연결해서 하나의 실수에도 벌벌떨면서 살진 않았는 지 돌아보았다. 누구나 실수는 할 수 있다고 머리로는 알고 있지만 실제 실수를 하게 되면 수치심을 느끼면서 실수를 인정하지 않으려고 한다. 그러나 실수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그 실수 이후의 나의 태도가 문제라는 것을 저자는 지적한다. 실수를 반성하고 진심으로 뉘우치고 용서를 청하면 그것으로 다시 기회를 잡을 수 있는 데 실수를 저질렀을 때 도망가고 회피하는 태도가 문제를 악화시킨다는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이상형, 소울 메이트를 찾으면서 진지한 관계를 요구하는 남자들이 다가오면 두려워하며 피하기만 한 내모습을 저자는 지적했다. 스스로 사랑받을 자격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내 장점과 약점을 모두 보여줄 수 있을 때 사랑은 시작되는 것이라고 저자는 내가 말하고 있다.

또한 사람들은 누구나 내가 원하는 나의 모습이 있을 것이다. 그 모습과 실제의 나를 비교하면서 진짜 나를 감추고 나의 원하는 모습과의 갭을 느끼면서 진짜가 아닌 내 모습으로 살려고 노력할 때가 있다. 이렇게 진짜 나와 분리된 나는 방어력이 약해지고 남이 판단하는 나로 살아가기 위해 늘 남의 시선으로 나를 맞춰가며 사느라고 늘 지쳐있는 것이다. 자기에게 집중되어야 할 에너지가 늘 남의 시선에 맞는 자기를 만드느라 사용되기 때문에 진정한 나의 발전은 이루어질 수가 없게 마련인 것이다.

특히나 저자가 역설한 내용중 몰입하는 것이야 말로 즐거운 인생을 만드는 것이라는 내용이 가장 맘에 와닿는다. 재능도 있고 박학 다식하여 무슨일을 하더라도 성공할 것 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성공이라고 내새울 게 없는 사람이 가끔 있다. 이러한 사람들의 문제는 꾸준한 열의를 가지고 실천하지 않는 것이라고 저자는 얘기한다. 어떤 일에 열정을 다해 임해야 겠다고 작정을 했다면 100% 일자체에 몰입하는 것이 그 일을 성공시키는 키워드라는 것이다. 과연 이렇게 100% 일자체에 몰입한 적이 있는가 하는 부분에서 나는 반성했다. 항상 다른 사람의 생각에 휘둘려 일 자체에 몰입한 적이 별로 없었던 것 같다. 이제부터라도 일 자체에 몰입하는 연습을 해봐야 겠다고 생각했다.

이 책을 보면서 모든 얘기가 다 나의 얘기는 아니었지만 내 모습을 비추어 반성되는 부분을 많이 보게 되었다. 슬럼프는 어딘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내안에서 온다는 것, 그래서 슬럼프를 넘어서려면 나를 제대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 작은 습관과 사고가 여태껏 나를 슬럼프로 몰아가고 있었던 것이다. 이제 나의 약점을 스스로 인정하고 타인의 시선으로 나를 재단하려 하지 않는 태도에서 슬럼프 극복의 기회는 생기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