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와 성공을 부르는 유대인의 지혜 - 5천 년 탈무드의 지혜를 소유하라
임재성 지음 / 평단(평단문화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탈무드는 총 20만 권, 1만 2천 페이지, 250만 단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원전은 무려 63권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이 지혜의 보고인 탈무드를 유대인은 세 살 때부터 죽는 순간까지 손에서 놓지 않으며 둘이 서로 짝이 되어 대화하고 토론하고 논쟁하는 하브루타 방식으로 평생 공부한다고 합니다. 이를 통해 유대인은 다양한 시각으로 사물을 바라보고 논리적인 비판과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방법을 익히고 자신만의 독창적인 사고체계를 평생에 걸쳐 정립해 나간다고 합니다. 이와 같은 유대인이 세계 각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 아닐까 합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총 5부 23장에 걸쳐 탈무드의 내용을 기초로 유대인의 문화와 생활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제 1장에서는 유대인의 문화와 태도를 이야기합니다. 유대인들은 공동체 정신을 강조합니다. 이는 세계 속에 흩어져 살아왔던 유대인의 배경도 한 몫을 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탈무드의 가르침에서 비롯되고 있습니다. 또한 개인들에게 책을 항상 가까이하고 무엇이든 솔선수범하면서 항상 감사하는 태도를 가지라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제 2장에서는 유대인의 교육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우리나라도 교육열이 높기로 유명하지만 대학입시와 취업에 집중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교육은 어릴 때부터 질문하고 토론하는 교육을 기본으로 하는 유대인 교육과 비교했을 때 질적인 면에서 좀 더 개선할 부분이 없지 않아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유대인의 토론식 교육법인 '하브루타'의 효과는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도서관에서 '정숙'을 강조하고 눈으로 글을 보는 우리나라와는 조금 다른 문화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저자는 유대인에게 교육이란 인간답게 살기 위해 평생을 준비하는 과정이자 삶이 다하는 날까지 계속해야 할 의무라고 이야기 합니다. '탈무드'는 한가지 정답을 정해놓지 않고 열린 답을 추구하는 책으로 유대인들은 나이가 들면 7년마다 한 번씩 일독하며 죽을 때까지 공부한다는 내용은 상당히 인상적이었습니다. 대학입시를 위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총 12년을 공부하고 대학에 입학해서는 4년간 취업을 위해 공부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취업에 성공한 뒤에는 철학이나 인문서적대신 자기개발서나 업무에 필요한 책을 위주로 읽는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도 이와 다르지 않아 직장을 다니면서는 주로 자기개발서를 열심히 읽었습니다. 그런데 살아가며 힘들어 지는 순간에 저와 제 주변을 돌아보며, 나 자신에 대해서 인생에 대해서 그리고 앞으로 살아갈 미래에 대해서는 전혀 고민하지 않고 있는 저를 발견하고 많이 후회한 적이 있었습니다. 유대인과 같이 7년마다 지혜의 보고인 탈무드를 읽으며 나 자신과 삶에 대해 돌아봤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 3장과 4장에서는 유대인의 경제 개념과 비즈니스 방식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유대인 중에 부자가 많은 것은 어릴 때부터 체계적으로 경제 교육을 받으며 탈무드를 통해 돈에 대한 생각과 기부에 대한 태도를 배우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비즈니스를 위해 정직이나 배려와 같은 덕목도 중요하지만 제일 인상적인 부분은 유머가 비즈니스에 필수라는 이야기 였습니다. 2천 여년간 나라 없이 전 세계를 유랑하며 많은 고난과 핍박을 받은 민족임에도 탈무드에서는 웃음은 반드시 있어야할 필수 사항이라고 가르치고 있다고 합니다.

제 5장에서는 쾌락과 고난, 휴식에 관한 태도를 이야기합니다. 나 자신을 잃지 않고 살아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쾌락과 고난 그리고 휴식을 어떻게 밸런스있게 유지하며 살아가야 하는 지 가르치고 있습니다. 특히 탈무드에서는 남들의 판단에 흔들지리 말고 나 자신이 누구인지 항상 사색하고 인생을 어떻게 살아가야 할 지 고민하면서 좀 더 깊이 있는 인생을 살아가야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어릴 적에 어린이 탈무드를 읽은 적은 있지만 학교를 졸업하고 나서는 탈무드를 손에 잡을 기회가 없었습니다. 빠르게 성과를 낼 수 있는 업무참고서나 성공적인 인생을 살아가는 방법을 알려주는 자기개발서가 독서의 일순위였습니다. 그런데 인간관계에서 상처받고 힘들었을 때 어떻게 극복해야하는 지 정답을 알려주는 책은 아무리 찾아도 없었습니다. 그 이후에 철학책이나 인문서적을 읽으려고 노력은 했지만 어떻게 살아가야 할 지는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유대인들의 독서법이나 공부법을 많이 배워야 겠다고 생각하며 탈무드를 다시한번 읽어봐야 겠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